print

SK가 삼성보다 ‘반도체 불황’에 더 취약한 이유 [이코노 리포트]

인텔 낸드사업 인수로 1년 이자비용만 1조 이상
낸드 수요 부진에 재고 부담 확대…솔리다임은 적자

SK하이닉스 이천 M16 팹. [사진 SK하이닉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건엄 기자] 메모리 반도체 한파가 여전히 매서운 가운데 SK하이닉스(000660)가 느끼는 부담이 삼성전자(005930)보다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메모리 반도체 재고 중 상당수가 낸드플래시(Nand Flash·이하 낸드)인 상황에서 인텔 낸드 사업 인수에 따른 막대한 금융비용이 이중고로 작용해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낸드 시장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성장통’이라는 낙관적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업황 개선이 예상보다 늦어질 경우 SK하이닉스의 경쟁력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우려도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하이닉스가 올해 상반기까지 지출한 이자비용은 6177억원이다. 현저히 떨어진 현금창출 능력 탓에 차입금 규모를 줄이기 힘든 상황을 고려하면 SK하이닉스는 올해 이자비용으로만 1조원 이상 지출할 가능성이 높다. SK하이닉스의 분기별 연구개발(R&D) 비용이 1조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이자비용 지출에 따른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SK하이닉스의 이자비용 지출이 늘어난 것은 인텔 낸드사업 인수에 따른 차입금 확대 영향이 크다. 차입금은 타인으로부터 빌려 온 자금으로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상환기간에 따라 단기차입금과 장기차입금으로 구분한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지난 2020년 10월 90억 달러를 투입해 인텔 낸드 사업부를 인수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2021년 70억 달러를 우선 투입해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사업부와 중국 다롄 팹을 인수 했다. 오는 2025년까지 잔금 20억 달러를 납입해 낸드 웨이퍼 설계·생산 관련 지식재산권(IP)과 연구·개발(R&D), 운영인력 등 유·무형자산을 이전 받을 예정이다. 

SK하이닉스의 올해 2분기 기준 차입금 규모는 30조81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급증했다. 전분기(28조7600억원)와 비교해도 7.1% 늘어난 수치다. SK하이닉스의 차입금 규모가 3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영향으로 차입금을 자본으로 나눈 차입금비율도 54%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5%포인트(p) 상승했다. SK하이닉스의 차입금비율은 지난해 1분기 이후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2022년 1분기 29% ▲2022년 2분기 29% ▲2022년 3분기 32% ▲2022년 4분기 36% ▲2023년 1분기 47% ▲2023년 2분기 54% 등이다.

문제는 천문학적인 이자비용에 더해 낸드 업황 개선이 더디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속적인 감산을 통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고 있지만 창고에 쌓인 막대한 낸드 재고가 SK하이닉스의 수익성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낸드의 경우 D램과 달리 경쟁 업체가 다수 포진해 있다 보니 점유율 확대와 고객사와의 협상력 부분에서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업체가 많을수록 감산 합의가 어렵다는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다. 즉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업체가 주도하고 있는 D램 시장처럼 낸드 시장 역시 대규모 재편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 업황 반등이 쉽지 않다는 얘기다.

실제 SK하이닉스의 상반기 말 기준 재고자산은 16조4202억원으로 전년 동기(15조6647억원) 대비 4.8% 늘었는데 이 중 상당수가 낸드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SK하이닉스가 지난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낸드 중심으로 감산에 나서겠다고 밝힌 것도 이같은 배경이 작용했다. 실제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 사업 인수 이후 새로 설립한 솔리다임의 적자폭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달 낸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평균 고정거래가격은 3.82달러에 머물렀다. 호황기였던 지난 2021년 9월(4.81달러)과 비교하면 20.6% 줄어든 수치다. 낸드 가격은 5개월째 보합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올해 3월 4달러 선이 붕괴된 이후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고정거래가격은 기업 간 계약거래 금액을 뜻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2“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3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4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5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6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7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8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9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실시간 뉴스

1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2“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3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4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5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