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LG CNS, 생성형 AI 기반 ‘지식 관리’ 서비스 도입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LG CNS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식 관리’ 서비스를 내놨다.
LG CNS는 생성형 AI로 기업 내부의 유용한 지식과 데이터를 찾는 ‘AI를 활용한 KM 혁신’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KM은 ‘지식 관리’(Knowledge Management)를 뜻한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사업 혁신(Assetization)을 이루겠단 취지다. 회사 측은 “혁신은 기업의 밸류체인(Value Chain) 전체 단계에서 도출되는 모든 아웃풋(Output)을 표준화해, 새로운 비즈니스의 인풋(Input)으로 활용하도록 돕는 LG CNS만의 체계를 말한다”고 전했다.
이날 개시를 알린 ‘AI를 활용한 KM 혁신’ 서비스는 사내 임직원들이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찾기 위해 채팅 창에 자연어로 질의하면, 생성형 AI가 사내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췄다. 사람이 정해 놓은 시나리오 기준으로 답변하는 기존 AI 챗봇과는 다르게,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AI가 직접 답변을 생성할 수 있도록 고도화됐다.
회사 측은 “임직원들은 업무 진행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담당자를 찾거나 여러 사내 시스템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생성형 AI 검색으로 수 초 내에 답변을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을 통해 ‘AI를 활용한 KM 혁신’ 서비스에 ‘애저 오픈AI’(Azure OpenAI)의 GPT-4를 적용했다. 챗GPT는 포털 등 외부에 공개된 데이터만 학습한 LLM(Large Language Model)이다. ‘AI를 활용한 KM 혁신’에 적용된 챗GPT는 기업 내부 데이터 기반의 답변을 생성한다는 것이 차별점이다. 정보 탐색이나 요약 등의 기능도 이용이 가능하다. 답변과 함께 출처와 답변 내용이 포함된 문서 전체를 받을 수도 있다. 만약 사내 데이터에 답변할 내용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챗GPT는 외부 지식을 활용한 답변도 제공한다.
LG CNS는 기업 내부 데이터 분석을 위해 자체 기술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를 사용한다. ‘오케스트레이터’는 임직원 질의에 대한 답변과 유사도가 높은 톱5 자료, 페이지 등을 찾아내 챗GPT에 제공한다. 이후 챗GPT가 자료를 분석해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오케스트레이터’는 내부 데이터 중에 보안사항은 비식별화하는 등 보안 정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탑재했다.
사내 오픈된 ‘AI를 활용한 KM 혁신’ 서비스는 AI·데이터·클라우드·스마트 시티, 스마트 물류·스마트 팩토리·보안 등 디지털전환(DX) 신기술 분야 각종 지식은 물론 ▲사업 방법론 ▲연구개발(R&D) 산출물 ▲기술 노하우 등이 포함된 약 52만 페이지 분량의 데이터가 탑재돼 있다.
LG CNS 측은 “‘AI를 활용한 KM 혁신’ 서비스 구현에 앞서 곳곳에 흩어진 사내의 다양한 지식 데이터를 한곳에 모았다”며 “이는 각종 산출물이 한 번 업로드 된 후 방치되거나, 조직 내 전문가들의 역량 대부분이 조직 자산으로 이어지지 못한 채 소멸되는 등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했다.
생성형 AI가 정확도 높은 답변을 내놓기 위해서는 사내에 지식 데이터를 풍성하게 축적하는 것도 중요하다. LG CNS는 신규 지식 데이터 축적과 조직 내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을 임직원 모두가 활용할 수 있도록 웹3.0 기반의 지식마켓 ‘브레인즈(BRAINS)’도 구축했다.
‘브레인즈’는 임직원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올리면 전용 코인을 사용해 지식을 구매할 수 있는 지식마켓이다. 임직원들이 지식의 유용성을 기준으로 비밀 투표를 진행하고, 선택된 지식을 올린 임직원에게 보상까지 제공하는 지식펀딩 서비스를 제공한다.
LG CNS는 사내에서 ‘AI를 활용한 KM 혁신’과 ‘브레인즈’를 선 적용해 신기술 테스트베드로 운영하고 있다. 기술을 검증한 후, 기업고객 대상의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김선정 LG CNS CTO(전무)는 “생성형 AI, 웹3.0 등 LG CNS의 DX 신기술 역량을 통해 기업 내부에 보유한 자산을 기반으로 필요한 지식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영테크놀러지, 뇌 수술용 의료로봇 세계 최대 디자인 박물관 전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키움 히어로즈, 프로야구 발전 저해 행위 중단하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