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밖에선 ‘이자잔치’ 뭇매…내부선 ‘부실채권’ 경계감↑
4대 시중銀 고정이하여신액 ‘3.3조원’…전년 말 比 5784억원 증가
올 들어 매 분기 ‘두 자릿수’ 증가율
고금리에도 대출 확대되며 은행권 위기 대응에 집중 불가피

4대 시중은행 부실채권, 1년 새 21.2%↑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3분기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총 3조3049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1.2%(5784억원)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에도 4대 시중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1년 전 대비 매 분기 감소를 보이며 지난해 말 2조7265억원까지 감소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부실채권이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이다.
고정이하여신은 은행에서 부실채권으로 여겨진다. 은행은 빌려준 돈을 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5단계로 구분한다. 이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부터 고정이하여신으로 분류해 놓는다.
은행별 고정이하여신 규모를 보면 ▲KB국민은행 9889억원(전년 동월 대비 37.6% 증가) ▲신한은행 8700억원(9.7%) ▲하나은행 7690억원(16%) ▲우리은행 6770억원(22.6%) 등을 기록했다.

NPL커버리지비율은 부실채권에 대비해 은행이 얼마나 충당금을 쌓아놨는지 보여준다. 연체율도 KB국민은행이 0.23%, 신한은행이 0.27%로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은행 내부에서는 최근 부실채권 증가 속도가 너무 빠르다고 평가한다. 부실채권은 올 1분기 말에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고, 2분기 말에는 13.0% 증가를 기록했다. 이후 올 3분기 말 들어와 증가율은 21.2%까지 높아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체율이나 NPL커버리지비율은 은행의 현재 관리 수준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향후 발생할지 모르는 부실은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고금리에도 “대출 받자”…변동금리 비중은 ‘70.3%’
은행권에서는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큰 상황이고 고금리 장기화가 예고된 만큼 내년으로 갈수록 부실채권이 더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대출 확대 기세가 꺾이지 않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국내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6조8000억원 증가해 총 1086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이 5조8000억원 확대됐는데 매달 감소하던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도 1조원이나 늘었다.
고신용자 기준에서도 주담대 금리는 연 4~5%대고 신용대출 금리는 연 6~7%대다. 높은 금리 상황에서도 서민들이 대출을 끌어다 쓰는 모습이다. 여기에다 10월 기업대출은 8조1000억원 확대됐다. 9월에는 11조3000억원 증가한 바 있어 기업들이 대출로 버티는 모습이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은 상황도 악재로 풀이된다. 한은에 따르면 잔액 기준으로 지난 9월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적용 대출 비중은 70.3%, 기업대출은 63.9%를 기록했다. 신규취급액으로 봐도 변동금리 비중은 가계대출 47.8%, 기업대출 56.8%다.
한은은 물가가 2% 목표치로 수렴하는 모습이 나타나기 전까지 기준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내년 상반기까지도 고금리 현상은 유지될 수밖에 없어 연체율 증가와 부실채권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이 이자이익을 내고 있지만 부채 부실에 대비해 막대한 규모로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자 감면이나 대출 상환 유예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민주, '당원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 선출
2광명 붕괴사고 하루 경과…실종자 수색작업 총력
3더불어민주당 “尹, 개선장군 행세하며 '퇴거쇼'…퇴근시간 퍼레이드 민폐”
4안철수, 오세훈 불출마에 “마음이 숙연…당 재건 위해 큰 역할 해주길”
5넥써쓰, 중국 이어 두바이까지…해외 진출 본격화
6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7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8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9‘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