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포스코홀딩스, 반도체용 희귀가스 국산화…“공급망 안정화”
- 중국 업체와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법인 합작 계약 체결

포스코홀딩스는 22일 중국 중타이 크라이어제닉 테크놀로지(이하 중타이)와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을 위한 합작 계약을 체결했다. 중타이는 중국 선전거래소에 상장된 가스 관련 설비 제작과 엔지니어링 전문기업이다. 희귀가스 생산 설비, 공기 분리 장치 등 가스 분야에 특화된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고순도 희귀가스는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위성 추진체 등 첨단산업에 사용되는 순도 99.999%의 네온(Ne), 제논(Xe), 크립톤(Kr) 가스를 말한다.
포스코홀딩스는 국내 고순도 희귀가스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중타이와 합작해 연산 13만 노멀 입방 미터 규모의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2024년 내 광양 동호안 부지에 공장을 착공하고 2025년 말부터 상업 생산한다는 목표다. 합작 지분은 포스코홀딩스, 중타이가 각각 75.1%, 24.9%이다. 연산 13만 노멀 입방 미터는 국내 반도체 시장 52%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합작 계약을 통해 포스코홀딩스는 포스코의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크루드(crude) 희귀가스를 합작법인 생산공장에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중타이는 크루드 희귀가스에서 고순도 희귀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설비와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포스코는 지난해 1월부터 고순도 희귀가스의 원재료인 크루드 네온가스(Ne)를 상업 생산하고 있다.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크루드 제논(Xe)과 크루드 크립톤(Kr)까지 생산 품목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공기 중에 극히 미량으로만 존재하는 희귀가스는 다량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는 대형 공기 분리 장치가 있어야만 생산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 기업은 주로 미국, 중국, 우크라이나 등지에서 희귀가스를 수입해 왔다.
포스코홀딩스는 희귀가스의 국내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그동안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던 반도체용 고순도 희귀가스를 국산화하게 됐다. 특히 이번 포스코홀딩스의 신사업 투자는 지난 4월 정부가 광양 동호안 부지에 대한 규제 혁신을 지원했기에 가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시민, ‘노동 운동 동지’ 김문수에 “꽂히면 백스텝 몰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단독]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논의…전망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할인도 경품도 '역대급'…여기가 '여행천국'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한화그룹, 美 워싱턴에 글로벌 방산 '지휘본부' 세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임상 성공에 티움바이오 뛰고 바이오솔루션 날았다[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