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 적용되던 패널, 노트북 확산…LGD, 탠덤 OLED 양산
‘13인치 탠덤 OLED 패널’ 양산 돌입…노트북 시장 정조준
성능 높이고 소비전력 낮춰…장수명·고휘도 구현한 신제품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노트북용 ‘13인치 탠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개발을 완료하고 최근 양산을 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회사는 성능은 높이고 소비전력은 줄인 신제품을 통해 노트북용 OLED 시장에 나설 계획이다.
탠덤 OLED는 LG디스플레이가 2019년 최초 상용화에 성공한 제품이다. 레드∙그린∙블루(RGB) 2개 유기발광층을 쌓는 방식으로 장수명·고휘도를 구현한다. 기존 1개 층인 OLED 패널 대비 내구성과 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OLED 소자에 가해지는 에너지를 분산시켜 보다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품질 기준이 까다로운 차량용 OLED에 처음 적용됐다. 노트북·모니터·태블릿 등 화면 사용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IT 제품에도 최적화된 기술로 평가받는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노트북 패널에 탠덤 OLED가 적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디스플레이는 노트북 사용 환경에 맞춘 탠덤 OLED를 새롭게 개발했다. 노트북용 탠덤 OLED는 기존 패널 대비 수명은 2배, 밝기는 3배까지 높다. 소비전력은 최대 40% 저감 가능하다.
LG디스플레이가 양산을 시작한 ‘13인치 탠덤 OLED 패널’은 부품 설계 및 구조 개선 등을 통해 기존 제품 대비 약 40% 얇다. 무게는 28% 가볍다. 또 WQXGA+(2880x1800) 고해상도와 디지털영화협회(DCI) 표준색 영역 DCI-P3를 100% 충족한다.
화소 스스로 빛을 내는 OLED 패널이라 비디오전자공학표준협회(VESA)의 ‘디스플레이 HDR(High Dynamic Range) 트루 블랙 500’ 기준을 충족한다. HDR은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표현해 영상의 입체감을 높임으로써 눈으로 보는 것과 최대한 비슷한 화면을 만드는 기술이다. OLED 특유의 무한대의 명암비를 바탕으로 높은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터치 센서는 패널 안에 내장돼 있다. 토털 터치 솔루션을 적용해 성능을 끌어올렸다. 장재원 LG디스플레이 중형 상품기획담당(상무)은 “장수명, 고휘도, 저소비전력 등 탠덤 OLED만의 강점을 기반으로 차별적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IT용 OLED 제품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2위믹스 생태계 구축으로 국내 블록체인 시장 선도한 위메이드
3 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 선언
4‘산불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
5커피값 올려야 생존하는 저가커피의 딜레마
6농심-삼양의 '60년 라면전쟁'...K-푸드, '세계의 별'로 만들다
7주유소 기름값 9주 연속 하락…미국 상호관세 발표 영향
8비트코인 10만 달러 '재탈환' 시동?...연준 '유동성 언급'에 8만 3천 달러 반등
9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