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日 새 지폐 인물에 '일제강점기 침탈 장본인'...서경덕 "역사 수정하려는 꼼수"

일본, 화폐 3종 발행...시부사와 에이이치 초상화 삽입
서 교수 강력 비판..."한국에 배려 없는 행위"

새로운 1만엔권 지폐에 등장하는 시부사와 에이이치. [사진 서경덕 교수 SNS 캡쳐] 
일본이 화폐 3종에 대해 새 지폐 발행을 단행한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단위 화폐인 1만엔권에 일제강점기 경제 침탈의 장본인인 시부사와 에이이치 초상화가 들어가게 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외신 등에 따르면 일본은 다음 달부터 1000엔, 5000엔, 1만엔 등 화폐 3종을 교체 발행한다. 1000엔, 5000엔권의 인물이 바뀌는 것은 2004년 이후 20년 만이다. 1만엔권 인물 교체는 1984년 이후 40년 만에 처음이다.

최고액권인 1만엔권 새 인물에는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정해졌다. 시부사와는 일본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를 거쳐 여러 기업의 설립 및 육성에 관여해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로 불린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자신의 SNS를 통해 이번 일본의 결정을 강력히 비판했다.

서 교수는 "그는 구한말 한반도에 철도를 부설하고 일제 강점기 경성전기(한국전력의 전신) 사장을 맡으며 '경제 침탈'에 앞장선 인물로 비판받아 왔다"며 "또한 대한제국 시절 이권 침탈을 위해 한반도에서 첫 근대적 지폐 발행을 주도하고, 스스로 지폐 속 주인공으로 등장해 한국에 치욕을 안겼던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대한제국에서는 1902년∼1904년 일본 제일은행의 지폐 1원, 5원, 10원권이 발행됐는데, 이 세 종류 지폐 속에 그려진 인물이 바로 당시 제일은행 소유자였던 시부사와 에이이치 였다"며 "이번 1만엔권의 등장 인물은 지난 2019년 아베 정권에서 결정한 것인데, 이를 시정하지 않고 그대로 발행하는 기시다 정권도 문제가 크다"고 꼬집었다.

끝으로 그는 "아울러 일제 식민 지배를 받은 한국에 대한 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역사를 수정하려는 전형적인 꼼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며 "이들의 이런 행위는 언제쯤 끝이 날까"라며 글을 마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승객 ‘신뢰’ 저버린 LCC...개선 사안은 ‘산더미’

2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3‘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4‘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

5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6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

7견고한 ‘악순환 고리’... ‘LCC 치킨 게임’의 부작용

8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9사고에도 ‘흔들림’ 없는 LCC...계속되는 ‘불안한’ 이륙

실시간 뉴스

1승객 ‘신뢰’ 저버린 LCC...개선 사안은 ‘산더미’

2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3‘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4‘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

5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