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기 신도시 밑그림 완성…“일산 아파트 용적률 300%로 상향”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 공개…주상복합은 360%로 조정

1기 신도시 고양시 일산.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정부가 경기 일산 신도시 재건축 아파트의 기준 용적률을 현 169%에서 300%로 상향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일산 신도시의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공개하고 주민 공람에 들어갔다.

일산 신도시의 평균 용적률은 1기 신도시 중 가장 낮은 169%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일산 신도시 아파트와 주상복합의 기준 용적률은 각각 300%와 360%로 올라간다.

이에 따라 일산 신도시의 주택 규모는 기존 10만4000가구(24만명)에서 13만1000가구(30만명)로 2만7000가구 늘어나게 된다.

기준 용적률은 계획인구에 따른 인구 증가를 수용하고 쾌적한 정주환경 유지가 가능한 적정 개발 밀도를 의미한다. 

정부는 일산 신도시의 비전을 ‘활력있고 생동감있는 공원도시 일산’으로 정하고 ▲생동감 있는 녹색공원도시 ▲이동이 편리한 교통도시 ▲활력있는 자족도시 ▲쾌적한 정주환경도시 ▲살기 좋은 복지문화도시 등 5가지 목표에 따라 정비키로 했다.

정부는 기본계획안에서 호수·문화공원 등으로 대표되는 도시환경을 유지하면서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고, 주거, 일자리, 문화 등 융복합 도시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도시공간 구상계획도 제시했다.

정부가 이날 일산 신도시까지 기본계획을 공개하면서 5개 1기 신도시에 대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이 모두 공개됐다. 앞서 기본계획안을 발표한 부천시(중동)와 군포시(산본), 안양시(평촌), 성남시(분당)는 기준 용적률을 각각 350%, 330%, 330%, 326%로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중동 2만4000가구, 산본 1만6000가구, 평촌 1만8000가구, 분당 5만9000가구가 추가로 공급된다.

1기 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수도권의 주택문제 해소를 위해 200만가구 건설계획(1989년)을 통해 조성된 한국의 대표적인 신도시다.

1989~1996년에 걸쳐 총 29만 2000가구 규모로 조성된 1기 신도시 5곳은 30여년이 지난 현재 총 39만 2000가구 규모의 도시로 성장했다.

올해 4월 시행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기본계획에 따라 14만 2000가구의 추가공급 기반이 마련되는 등 2035년까지 총 53만 7000가구 규모의 도시로 재정비된다.

1기 신도시 5곳에 대한 기본계획은 주민 공람 뒤 지방의회 의견 청취, 노후계획도시정비 지방위원회 심의, 경기도 승인 등의 절차를 걸쳐 올해 안에 확정될 예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6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

7퓨리오사AI 방문한 이재명...“중요한 건 먹고 사는 문제, 희망 보인다”

8한미약품, 美 AACR서 비임상 연구 성과 11건 발표

9네이버,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한국의 핫플 소개하는 ‘비로컬’(BE LOCAL) 캠페인 선보여

실시간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