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인 가구 월평균 소득 315만원…생활비로 40% 쓴다

KB경영연구소, ‘2024 한국 1인가구 보고서’ 발간
70% 현재 생활에 만족…경제적 안정·외로움·건강 우려도

서울 성동구1인가구지원센터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관훈 기자]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315만원 수준으로, 이 중 생활비에 약 40%를 지출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KB경영연구소가 1인 가구의 일상과 금융 생활의 변화를 분석한 ‘2024 한국 1인 가구 보고서’를 17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월 혼자 거주하며 독립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25~59세 1인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표적집단 심층면접(FGD) 결과를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315만원으로 조사됐다. 소득 지출액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생활비로. 40.8%(128만원)에 달하는 비용을 주거비와 식비, 여가비 등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대비 생활비 비중은 지난 2022년 조사와 비교해 2.1%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고물가, 고금리로 인해 생활비와 대출상환 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1인 가구의 저축 비중은 월 평균 소득의 30.3%로 지난 2022년 조사와 동일하다.

응답자의 71.2%는 현재 1인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은 항목으로 ▲공간·환경(77.8%) ▲여가생활(75.3%) ▲인간관계(59.5%) ▲경제력(48.4%) 등을 꼽았다. 반면 ▲경제적 안정(22.8%) ▲외로움(18.1%) ▲건강(17.0%) 등의 순으로 1인 가구가 생활에서 대한 고민이 많았다. 경제적 안정에 대한 우려는 2022년 19.1%에서 소폭 확대됐다.

또한 1인 가구는 하루 평균 채 2끼(1.8끼)도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택에 거주하는 1인 가구는 2022년 35.3%에서 올해 38.4%로 3.1%p 확대됐다. 같은 기간 아파트에 거주하는 1인 가구 비율은 36.2%에서 30.7%로 5.5%p 내려갔다.

이밖에 1인 가구의 절반 이상(53.1%)은 비자발적으로 독립을 시작했다.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은 독립 준비를 위한 충분한 점검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1인 생활을 시작했다고 답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

6현대이지웰, 복지몰 업계 최초 전자금융업 등록

7롯데홈쇼핑, 美 패션매장서 업계 첫 ‘현장 라이브커머스’ 연다

8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9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실시간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