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안했으면 조금만 늦추세요"...최적 시점은 '이때'
가격 내렸지만 최고 품질은 다음주

18일 전문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4인 기준 김장재료 비용은 (지난 15일 기준) 전통시장 33만1500원으로, 지난해 30만1000원보다 10.13% 늘었다. 물가정보가 조사한 기준으로 배춧값(20포기)은 지난해 8만원에서 올해 10만원으로 25% 올랐고, 무(10개) 가격은 1만5000원에서 3만원으로 100% 올랐다.
쪽파(2단)도 1만2000원에서 2만원으로 66.67%, 총각무(3단)는 1만2000원에서 1만3500원으로 12.5% 올랐다. 생강(-30%)과 천일염(-28.57%), 대파(-25%) 가격은 지난해보다 내렸고, 깐마늘과 멸치액젓 가격은 동일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마트의 경우는 동일 기준 39만9430원으로 지난해 36만6360원보다 9.03% 늘었다. 배춧값은 20.88%, 무는 106.15% 올랐다. 김장 부재료 등의 김장 재료는 작황이 좋은 데다 정부 비축 물량까지 공급돼 가격은 하향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됐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팀장은 "최근 여러 지역에서 배추 생산량이 증가해 공급량이 늘고 있다"며 "대형마트에서 정부 대책으로 배추를 포기당 1000원대에 팔고 있지만, 생산 시기와 지역에 따른 품질 차이를 고려했을 때 작년 대비 여전히 비싼 가격"이라고 전했다.
이어 "올해는 여름철 이상기후로 배추 정식 시기가 늦어졌던 만큼 김장용 배추로 적합한 속이 더 차오르고 수분이 빠진 좋은 배추를 구매하려면 평소보다 1∼2주 늦게 김장하는 것이 지혜로운 김장법이 될 것"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우건설 컨소, 착공보고서 국토부 접수…GTX-B 공사 속도 낸다
2비덴트,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 지정…상폐 기로
3“봄바람 휘날리며” 이번주 벚꽃 본격 개화
4‘코인 대통령’ 자처하더니…트럼프 일가, 이번엔 채굴업체 출범
5창업 7년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첫걸음R&D’ 노려라…18개월 간 최대 2억원 지원
6경제계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다행”
7홈플러스 “채권 변제 최선 다할 것”…금감원 조사에도 ‘성실 응답’ 약속
8"호출하면 달려오는 자율주행 화장실, 상상해 봤니?"...만우절 깜짝 '모빌렛' 등장
9카톡 번진 ‘지브리 프사’…이미지생성 열풍에 챗GPT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