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美 최대 보험사 CEO는 왜 피살됐나…보험금 부지급 때문? [보험톡톡]

유나이티드헬스그룹 과거 보험금 부지급 논란…美 부정 여론 ‘폭발’
국내도 매년 1만건 이상 부지급 발생…금감원·소비자원 민원 가능

우리는 살면서 대부분 보험 하나쯤은 가입합니다. 하지만 내가 가입한 보험이 내게 왜 필요한지, 어떤 보장을 담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면 막연히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알고 싶지 않은 것 아닐까요. 어려운 보험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접근하기 위해 다양한 보험업계 소식 및 재테크 정보를 ‘라이트’하게 전달합니다. [편집자]

브라이언 톰슨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보험 부문 최고경영자(CEO). [사진 유나이티드헬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미국 최대 건강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의 보험 부문 대표 브라이언 톰슨 최고경영자(CEO)가 뉴욕 한복판에서 총격으로 살해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하지만 미국 내 대다수 여론은 그를 애도하기는커녕 조롱하는 등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총격범의 범행 동기가 보험금 지급 거부와 연관됐을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일부 보험 가입자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그간의 보험사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성토하고 있다.

톰슨은 지난 4일(현지시간) 맨해튼 미드타운의 힐튼 호텔에서 열릴 예정이던 투자자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발걸음을 옮기던 중 오전 6시 46분께 검은색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남성의 총격을 받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범인은 마스크를 착용한 채 톰슨을 기다리다 여러 발의 총격을 가한 후 전동 자전거를 이용해 센트럴 파크 방향으로 도주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이 계획된 표적 공격으로 보고 있으며, 범인의 행방을 추적 중이다.

톰슨은 20년 이상 유나이티드헬스그룹에 몸담으며 CEO 자리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그가 2021년 보험 부문 CEO로 임명된 뒤 이 회사의 이익은 같은 해 120억 달러(약 17조원)에서 지난해 160억 달러(약 23조원)로 증가했다. 지난해 보험 부문에서 기록한 매출만 해도 2810억 달러(약 398조원)에 달했다.

그런데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은 과거 보험금 부지급과 관련해 논란이 있었다. 앞서 2021년 톰슨은 응급실 방문이 필수적이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보험금 지급을 거부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해 비판을 받았다.

이런 배경에 톰슨의 살해를 둘러싼 미국 내 여론은 차갑기만 하다. NBC 방송에 따르면 톰슨 사망과 관련한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의 페이스북 공식 게시물에 대한 반응 약 4만건 중 ‘웃음’ 이모티콘으로 반응한 수가 3만5000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슬픔’ 이모티콘 수는 2200개에 그쳤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자신을 응급실 간호사라고 소개한 한 소셜미디어(SNS) 사용자는 틱톡에 “나는 죽어가는 환자가 보험금 지급을 거부당하는 것을 봐왔다”며 “그 환자들과 가족들 때문에 나는 그 사람(톰슨)에 대해 측은함을 느낄 수 없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 같은 반응은 민간 보험에 가입한 미국인들 사이에 쌓인 그간의 좌절을 보여준다고 NYT는 짚었다.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보험제도로 불합리한 상황에 놓였다고 생각해 온 사람들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는 얘기다.

보험금 부지급 문제는 국내에서도 끊임없이 불거지는 뜨거운 감자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금 부지급 건수는 지난해 1만2806건, 2022년 1만1912건, 2021년 1만1857건으로 매년 1만건 이상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물론 보험사는 ▲고지의무 위반 ▲면책사유 해당 ▲고의사고 ▲기존 질환 ▲인과관계 불명확 등의 사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재해 사고와 무관한 과거 병력을 이유로 사망 보험금을 줄이거나, 사고와 관련 없는 직업 변경 사실을 사전에 보험사에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 등의 ‘꼼수’로 보험금 지급을 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금융소비자들은 보험사로부터 보험금 지급이 거절됐을 때, 보험사에 우선 이의신청을 하는 게 좋다. 만약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금융감독원에 분쟁조정을 요청하거나 한국소비자원에 민원을 제기할 수도 있다. 전문가인 독립 손해사정사를 선임해 도움을 받는 방법도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닥 입성 앞둔 데이원컴퍼니 “글로벌 K-에듀 콘테츠 기업 목표”

2“보신주의 은행장” 기업은행 노사, 임금 갈등 ‘악화일로’

3“욕 먹어도 괜찮아”...대형마트, 할인 파티 계속하는 이유

4 崔권한대행, 박종준 경호처장 사직서 수리

5코리안 특급도 못 피한 화마…LA 산불에 잇단 피해

6 정부 “복귀 전공의는 수련 후 입영할 수 있게 조치”

7에르메스 버킨백 ‘2000만원 시대’…새해부터 명품 가격 인상 러시

8박종준 경호처장, 崔권한대행에 사직서 제출

9 정용진 회장, 이명희 총괄회장 이마트 지분 전량 매수키로

실시간 뉴스

1코스닥 입성 앞둔 데이원컴퍼니 “글로벌 K-에듀 콘테츠 기업 목표”

2“보신주의 은행장” 기업은행 노사, 임금 갈등 ‘악화일로’

3“욕 먹어도 괜찮아”...대형마트, 할인 파티 계속하는 이유

4 崔권한대행, 박종준 경호처장 사직서 수리

5코리안 특급도 못 피한 화마…LA 산불에 잇단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