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우리은행, PB영업 특화채널 서사이공지점 신설
PB브랜드 ‘투체어스’ 4번째 특화채널
경제중심지 호치민시 고액 자산가 공략
![](/data/ecn/image/2024/12/24/ecn20241224000010.800x.0.jpg)
이로써 베트남우리은행의 영업채널은 모두 28개로 늘었다. 서사이공지점은 ▲하노이 스타레이크지점 ▲하노이 롯데몰지점 ▲호치민 푸미흥지점에 이어 네 번째로 개설된 우리은행 PB브랜드인 투체어스(Two-Chairs) 특화채널로 현지 고액자산가 고객 공략에 나선다.
베트남 경제중심지인 호치민시 남서부에 위치한 서사이공지역에는 많은 부유층 고객이 거주중으로 베트남우리은행은 베트남 현지인 지점장을 영입해 PB영업을 추진한다. 또한 다수의 쇼핑몰과 대학교가 밀집해있어 젊은 세대 유동 인구가 많은 곳으로 ▲디지털플랫폼 글로벌WON뱅킹 ▲QR결제서비스 ▲체크카드·신용카드 등 리테일 영업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한편, 베트남우리은행은 개인고객수가 2022년말 37만명에서 올해 11월 기준 62만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개인고객 여·수신 실적도 4.9억불에서 10.2억불로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현지 리테일 영업 부문에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특히 2023년 새롭게 도입한 QR결제 서비스를 통해 상점들의 집금 계좌를 유치함으로써 우리은행 계좌를 통한 QR결제 누적 건수는 110만 건에 달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네번째 PB특화채널인 서사이공지점을 통해 본격적으로 고액자산가 영업에 나선다”며 “베트남우리은행은 지속적으로 영업채널을 확충하고 디지털 영업을 강화해 많은 현지 고객들에게 우리은행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공식화…FTA 맺은 한국도 영향권
2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여지에 일제히 상승
3뉴욕유가, 상호 관세 미뤄지자 약보합세 마감…WTI, 0.1%↓
4 1월 취업자 13만5천명 증가…한달만에 증가 전환
5로킷헬스케어, 완전자본잠식에도 상장 강행…우려 커진다
6“신규 유치보다 ‘장기 이용자’ 혜택 강화”...집토끼 지키는 통신 3사
7‘단통법 폐지’로 지원금 전쟁 다시 불붙나…장기 이용자 지키기 치열해져
8아이리드비엠에스,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9"이제 더는 못 먹어"…'일본판 쯔양' 먹방女 돌연 은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