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계엄 1주 만에 '퇴직금 주세요'…김용현, 사유란엔 "형벌사항 없음"
- 지난달 10일 공무원연금공단에 접수
추미애 "무슨 낯으로 신청한 것인가"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핵심 피의자로 '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사태 약 일주일 후 퇴직급여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2일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소속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무원연금공단에서 제출받은 김 전 장관의 퇴직급여 신청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지난달 10일 퇴직급여 청구서를 공단에 우편으로 접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공무원은 퇴직 5년 이내에 공단에 퇴직급여를 청구할 수 있다.
앞서 김 전 장관은 계엄 사태 다음날인 지난달 4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그는 퇴직급여 청구서에 퇴직 일자를 2024년 12월 5일로 기재했는데 이날은 윤 대통령이 김 전 장관을 면직 처리한 날이다.
면직은 징계가 아닌 단순한 행정·인사 조처이기에 퇴직금 지급에 제한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전 장관은 같은 달 8일 새벽 검찰에 자진 출석해 조사를 받은 뒤 긴급체포 됐고 퇴직급여가 공단에 접수된 당일 구속됐다.
김 전 장관이 신청한 내용은 대통령 경호처장(2년 3개월), 국방부 장관(3개월)으로 근무한 것에 따른 퇴직급여 청구다. 퇴직 사유는 '일반퇴직'으로 기재됐으며 형벌 사항 등은 '없음'으로 표기됐다.
공단은 지난 10일 기준 김 전 장관에 대한 퇴직급여를 심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직 중 사유로 수사·재판 중일 때는 퇴직급여 지급이 유보된다.
한편 추 의원은 김 전 장관이 형벌 사항 등을 기재하는 항목에 '없음'으로 표시했고 퇴직 사유 역시 파면이나 해임 등이 아닌 '일반 퇴직'으로 명시한 것에 대해 지적했다. 공단은 아직 퇴직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심사 중이라고 추 의원에게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추 의원은 "내란 사태로 구속까지 된 김 전 장관이 무슨 낯으로 퇴직금을 신청한 것인가"라며 "군인연금이 지급됐는지 여부도 확인하고 당장 지급을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1982년 소위로 임관한 김 전 장관은 2017년 전역하기까지 약 35년간 군 복무를 한 군인연금 수급권자로 이미 전역 직후부터 군인연금을 받아 왔다. 보통 예비역 중장은 월 500만 원 안팎의 군인연금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군인연금은 현역일 때 저지른 범죄 혐의가 금고형 이상일 때만 삭감돼 연금은 당장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가양대교도 잠겨” SNS로 전해진 서울 피해 상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누가 KBO 최초로 3000안타 기록할 인물인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하루 240㎜ 넘는 `괴물폭우` 수도권 덮쳤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반려동물 700만 시대 ‘펫 장례’에 베팅…프랙시스, 21그램 품는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생물보안법’·‘임신중지약 합법화’ 관련주 활짝…‘방광암진단’ 지노믹트리도 상승[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