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獨선사와 1.7조 규모 LNG선 수주 가능성↑
하팍로이드, LNG 컨테이너선 6척 발주
가격·인도 시기·美 중국 견제 등 복합 작용
![](/data/ecn/image/2025/02/09/ecn20250209000016.800x.0.jpg)
이는 애초 중국 양쯔장 조선에 추가 발주될 예정이던 물량이었으나,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맞물리면서 한화오션이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른 것으로 보인다.
9일 조선·해운 전문 매체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하팍로이드는 현재 1만68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을 한화오션에 발주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분을 뜻한다.
하팍로이드는 이미 2021년 당시 대우조선해양이었던 한화오션과 동일한 선종의 선박 6척에 대한 건조의향서를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해 10월 중국 양쯔장 조선소에 같은 사양의 선박 12척을 발주한 하팍로이드는 추가 6척을 건조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선가는 척당 2억1000만 달러(약 2873억원)로, 2027년부터 2029년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옵션 물량을 중국이 아닌 한화오션에 맡기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하팍로이드의 발주 계약이 이르면 이달 말 체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하팍로이드가 한화오션을 고려하는 이유로 인도 가능 시기와 경쟁력 있는 가격이 지목됐다.
아울러 미국의 대중국 견제가 강화되면서 글로벌 선주들이 중국 외 다른 조선업체와의 계약을 선호하는 분위기도 한화오션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한화오션 측은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작년 공공기관 신규채용 2만명 아래…5년 연속 감소
2테무도 韓시장 직진출 할까?…이커머스 시장 경쟁 구도 변화 예상
3서민금융기관의 새로운 도약을 꿈꾸다
4‘33년 영업신화’ 이호성 하나은행장 “새 수익원 찾아라” 특명
5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6인수합병·기술도입…다국적 제약사 파이프라인 확장
7‘나 홀로 연임’ 정상혁 신한은행장 리딩뱅크 자리 굳히나
8‘육각형 리더십’ 이환주 KB국민은행장, 비은행‧영업통 저력 보여줄까
9고민 깊은 유한양행·SK바이오팜…‘넥스트’ 신약 개발 사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