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전국 아파트값 0.01% 상승…“토허제 해제에 상승 기대감↑”

부동산R114 리포트…2월 둘째 주 전국 17개 시도 중 9곳 상승

서울 여의도 파크원2 빌딩 46층에서 바라본 여의도 주변 풍경. / 왼쪽 아래 여의도공작아파트 단지가 일부 보이고 길 건너 삼부아파트 단지. 그 뒤로 대교, 장미, 화랑 아파트가 보이고 63빌딩이 보인다. [사진 신인섭 기자]
[이코노미스트 박관훈 기자]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가 해제되자 가격 상승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되며 수도권 전체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1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1% 상승했다. 서울이 0.04% 올라 수도권(0.02%)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을 제외한 경기‧인천 지역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5대광역시가 0.01% 떨어졌고 기타지방은 0.02% 상승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 9곳, 보합 1곳, 하락 7곳으로 상승 지역이 우세했다. 

이번 주 오름폭이 큰 지역은 ▲충북(0.06%) ▲충남(0.05%) ▲전북(0.05%) ▲서울(0.04%) ▲경북(0.04%) ▲울산(0.0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1월 월간 전국 변동률은 작년 12월 하락 전환 후 2개월 연속 하락하며 -0.18%을 기록했다.

전세시장은 전국 대부분 지역이 보합(0.00%) 수준에서 제한적인 가격 흐름을 보였다. 2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보합(0.00%)을 기록했다. 서울과 수도권, 경기ㆍ인천 및 5대광역시, 기타지방에서 별다른 가격 움직임이 없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 2곳, 보합 15곳, 하락 0곳으로 보합세가 우위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인천(0.01%) ▲부산(0.01%)에서 올랐다. 한편 1월 월간 전국 변동률은 0.02%을 기록하며 18개월 연속 상승 흐름이 이어졌다.

서울시가 2020년 이후 5년 동안 이어오던 토지거래허가구역(이하 토허제)을 일부 해제하면서 해제된 지역들을 중심으로 호가(부르는 가격)가 오르는 등 기대감이 형성된 분위기다. 

서울 내 토허제는 주요 개발사업들이 위치한 용산, 여의도, 압구정, 목동, 성수, 강남 등에 위치한다. 이번 해제지역은 강남 일대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사업 이슈가 있는 송파 잠실동, 강남 삼성‧대치‧청담동이다. 

윤지해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수석연구원은 “여기에 위치한 아파트 305곳 중 291곳(재건축 이슈단지 14곳 제외)이 해제되면서 매수자의 2년 거주 제한이 즉각 풀리는 만큼 위축됐던 매매거래가 활발해질 전망”이라고 관측했다. 이어 “다만 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매수하려는 수요층도 늘어나지만, 매도에 나서는 집주인들로 인해 매물량도 동시에 늘어나는 만큼 갑자기 수억원 뛴 호가에 대한 거부감으로 매수자가 계약에 흔쾌히 응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참치캔 1등 회사 상폐 결정...동원F&B 갑자기 왜

2빅파마 주목 받는 이중항체 ADC…에이비엘·에이비온 개발 박차

3미래에셋 vs 한투 글로벌 영토 확장 ‘각축전’

4'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5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6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7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8‘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9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

실시간 뉴스

1참치캔 1등 회사 상폐 결정...동원F&B 갑자기 왜

2빅파마 주목 받는 이중항체 ADC…에이비엘·에이비온 개발 박차

3미래에셋 vs 한투 글로벌 영토 확장 ‘각축전’

4'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5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