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원 넘는 ‘금수저’도...미성년 계좌 잔액 4년간 20% 급증
1억 초과 계좌 1800개, 편법 증여 가능성도 제기

24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성년 예·적금 계좌(원화·외화 포함) 잔액은 7조80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말 7조4661억원 보다 3429억원(4.6%) 늘어났고, 2020년 말 6조4977억원과 비교하면 1조3114억원(20.2%) 늘었다.
예·적금 잔액이 늘어난 것과 반대로 계좌 수는 감소세다. 미성년 예·적금 계좌 수는 지난 2020년 말 약 527만개에서 2023년 말 498만개, 지난해 말 484만개로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계좌 당 잔액 평균은 약 161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말(약 150만원)보다 7.6%, 2020년 말(약 123만원)보다는 30.9% 불어났다.
반면 고액 계좌는 늘었다. 5억원 이상 고액 예·적금 계좌 수는 작년 말 145개로 전년 말(136개)보다 증가했다. 잔액은 1348억원에서 1502억원으로 154억원(11.4%) 늘어나는 등 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계좌당 평균 잔액이 10억원이 넘었고, 지난해 8월 기준으로 잔액이 100억원을 넘는 계좌도 있었다.
진 의원은 "미성년자 계좌를 이용한 편법 증여 가능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일정 금액 이상의 예·적금에는 증여세 신고 기준 강화를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신세계톰보이, 구스다운 점퍼 자발적 환불...'협력사가 허위 제출'
2현대건설, 아시아 최대 디자인 어워드 4년 연속 수상
3대기업과 손잡고 싶은 스타트업이라면...중기부 OI 지원사업 노려볼 만해
4“‘연 3%대’ 실종…누가 돈 넣겠나” 뚝뚝 떨어지는 예금 금리
5삼성전자, 3자녀 이상 직원 정년 후 재고용 방안 추진
6쥬얼리 출신 조민아, 보험설계사 변신 후 ‘전국 4위’ 쾌거
7"이자 갚기 힘들어요" 금융권 연체액 23조8000억원
8뒤집힌 美 여객기 피해자, 항공사 상대 억대 소송
9"29억 승차권 구매하고 99% 취소?"...코레일, 고소장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