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유튜브에 물든 한국인 일상…절반 이상 '日 2시간 시청'

2일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구글이 모회사인 유튜브의 총 사용시간은 6,965만6,607시간으로 전체 앱 가운데 가장 길었다. 일일 활성 이용자수(DAU)는 2,998만8,308명,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은 139.37분으로 집계됐다.
특히 2월 들어 유튜브 1인당 평균 사용 시간이 140분 이하인 날은 25일을 포함해 3일(139.18분), 7일(139.2분), 21일(139.43분) 등 나흘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일 평균 이용시간이 2시간을 넘어섰다.
2일(153.13분), 9일(153.17분), 16일(151.15분), 23일(152.12분) 등 매 일요일은 평균 이용시간이 150분을 모조리 넘겼다.
짧은 동영상 콘텐츠인 '릴스'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인스타그램 역시 1인당 하루 평균 이용시간이 50분에 달했다. 가장 최근 취합치인 지난달 25일 기준으로는 일일 활성 이용자 1,340만3,858명, 1인당 평균 사용 시간 50.58분으로 나타났다.
반면 토종앱 네이버와 카카오톡에 사용자들이 머무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날 기준 카카오톡의 일일 활성 이용자는 3,716만4,806명, 평균 사용 시간은 30.12분이었다.
네이버는 일일 활성 이용자 2,651만141명, 평균 사용 시간은 25.4분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네카오'를 합쳐야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이 채 한 시간이 안 되는 셈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이 같은 한계 상황을 탈출하기 위한 돌파구 마련에 고심 중이다.
네이버는 숏폼 서비스 클립을 공격적으로 키워가고 있고,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톡 오픈채팅 안에 '학교' 탭을 신설하고 서울대와 고려대 등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홍명보-모리야스 감독,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특별 대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송하윤 측 “학폭 의혹 유포자, 지명통보 수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최대 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지급…신청 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하반기 본게임 시작"…조단위 M&A ‘풍년’ 예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