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입 꾹 닫은 김병주 MBK 회장...국회 증인 출석 안 해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가 여는 대형마트 홈플러스와 관련한 현안 질의에서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출석하지 않기로 했다. 정무위 전체회의 하루 전인 17일 홍콩으로 출장을 떠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이날 국회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하며 "회의에 출석하기 어려운 점에 대해 양해를 구한다"라며 "MBK파트너스의 펀딩과 투자 과정에는 관여하지만, 이미 투자가 완료된 개별 포트폴리오 회사(홈플러스)의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라고 전했다.
이어 "증인으로 채택된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대표이사(각자대표)가 제반 사항에 대해 상세히 말할 것"이라며 "홈플러스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MBK파트너스는 동북아시아 내 최대 규모의 사모펀드(PEF) 운영사로,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했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의 유동성 위기가 본격화하기 이전 선제적으로 회사를 정상화하겠다며 기업회생을 신청해 논란을 빚었다. 현재 법원은 기업회생에 대해 개시 결정을 내린 상황이다.
재계와 정계에서는 MBK파트너스가 소유주의 책임을 회피하고 투자 손실만 막고자 무리하게 회생을 택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동안 홈플러스의 매장과 사업 등을 매각해 약탈적인 경영을 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잇따른다. 실제 홈플러스 직원들과 협력업체·소비자·채권투자자·증권사 등은 이번 사태로 피해가 우려된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절차를 밟으면 상거래로 발생한 채권을 먼저 변제한다고 밝혔지만, 회사의 부채가 막대해 제대로 이를 변제할 수 있을지 의혹이 제기된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신청 직전까지 어음과 단기채권을 발행했고 이 채권이 개인투자자로도 유통돼 투자 피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홈플러스 사태로 인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자, 국회 정무위는 이달 18일 전체회의를 열고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 배경을 비롯한 내용을 확인하기로 했다. 정무위는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홈플러스 공동 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강경모 홈플러스 입점협회 부회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김 부회장과 조 대표 등만 전체회의에 출석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 전례없는 연준 의장 해임 시도하나…"수개월 논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전례없는 연준 의장 해임 시도하나…"수개월 논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