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나만 안 했나' 결혼붐 터졌다…싱글 2030, 돌변한 까닭은
-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
혼인 건수, 4년 만에 '20만 건대'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응답 늘어"

20일 통계청 '2024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은 전년 대비 14.8% 늘어난 22만 2000건이었으며,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일컫는 '조혼인율'은 4.4건으로 1년 전보다 0.6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2021~2023년) 3년간 19만건 수준까지 떨어졌던 연간 혼인 건수는 4년 만에 20만건대를 회복하게 됐다.
이는 건수 기준으로는 2019년(23만 9000건) 이후 5년 만의 최대이며, 증가율 기준으로는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가 주로 아이를 낳던 1991~1995년에는 연간 출생아 수가 70만명대에 달했는데, 이들이 30대 초반이 되면서 결혼 건수도 늘어나게 됐다"고 인구 구조를 혼인 증가의 한 원인으로 분석했다.
또한 30대 초반 인구가 늘어난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기저 효과도 작용했다. 박 과장은 "코로나19로 미뤄졌던 혼인이 늘어나고, 사회조사에서도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준 응답률이 2022년(52.0%)보다 2024년(52.5%)이 높았던 만큼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짚었다.
실제로 지난해 남녀 모두에서 가장 결혼이 많았던 나이대는 30대 초반이었다. 연령별 혼인율을 보면 남자는 30대 초반이 전체 혼인의 39.1%(8만 7000건)을 차지했으며, 여자도 30대 초반이 전체의 37.9%(8만 4000건)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9세로 0.1세 낮아졌지만, 여자는 31.6세로 0.1세 높아졌다. 여자의 평균 초혼 연령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0년 이래 가장 높다. 박 과장은 “여성의 경제 활동 종사, 학업 등으로 인해 초혼 연령은 점차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초혼 연령은 남자가 1.4세, 여자는 1.7세 높아졌다.
외국인과의 결혼은 지난해 2만 1000건으로, 전년 대비 5.3% 늘어났다. 전체 혼인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9.3%로 전년보다 0.8%포인트 낮아졌지만, 여전히 10쌍 중 1쌍꼴로는 국제결혼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국제결혼 중 한국인 남자와 외국인 여자가 결혼하는 경우는 1만 6000건으로, 전체 국제결혼의 약 76%을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89평 이촌 아파트 경매 내놨던 이경실, 깜짝 소식 전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원빈, 작품 없이 '또' 광고 촬영..누리꾼 반응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선 승리위해"…尹, 당내 압박에 결국 '탈당 선언'(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IET 이어 SK지오센 佛 계열사도…EOD 위기서 기사회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제약, S-PASS 특허 출원 철회...후속 특허 기술도 없을 가능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