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여보, '이 자격증' 취득해요"…취업 잘 되는 자격증, 따로 있다
- 고용노동부 국가자격증 조사 결과
연령·성별 취업률 높은 자격증 상이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취업 잘되는 국가기술자격정보 제공'을 20일 공개했다. 해당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74만 명의 2024년 고용상태를 분석한 결과 미취업자(44만 5000명)의 절반(47.5%) 정도인 21만 1000명이 1년 이내에 취업했다. 자격증이 없는 사람의 취업률보다 7.9%포인트(p) 높은 수치다.
취업률이 가장 높은 자격증은 전기산업기사(73.9%)였다. 산림기능사(71.9%) 산업위생관리기사(71.5%)가 뒤를 이었다. 이는 취득 인원이 1000명을 초과한 자격증을 기준으로 매긴 순위다. 취득 인원이 200명 초과 1000명 이하 자격증에서는 에너지관리산업기사(79.4%)의 취업률이 높았다. 취득 인원이 200명 이하인 자격증 중에서는 승강기기사(82.1%)의 취업률이 높았다.
하지만 연령·성별에 따라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이 달랐다. 취득 인원이 1000명을 초과하는 자격증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층(19~34세)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5%) 전기산업기사(64.3%) 산업위생관리기사(61.2%) 순으로 취업률이 높았다. 고령층(55세 이상)은 전기기능사(58.1%), 한식조리기능사(54.3%), 조경기능사(50.3%) 순이었다.
남성 취득자의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0%) 전기산업기사(66.9%) 공조냉동기계기능사(57.9%) 순이었다. 여성은 웹디자인기능사(57.8%) 컴퓨터활용능력2급(53.3%) 직업상담사2급(51.5%) 자격증의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집단별 선호하는 자격증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이 달라 개별 특성에 맞는 취업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임영미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이번 분석 결과는 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는 구직자들이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을 선택하여 취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국가기술자격증이 직업능력개발과 국가 경쟁력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관상이 ‘아른’?…한덕수 부인 ‘무속 논란’에 박지원 “날 고소하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우와' SF 이정후, 23일 만에 홈런..시즌 4호 폭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고개숙인 최태원 “SK그룹 전사 보안체계 검토”[전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쪼개기 보호예수’ 백종원, 더본코리아 오버행 우려 잠재울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에 150억 달러 투자 나선 화이자, 디앤디파마텍·인벤티지랩에 호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