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여보, '이 자격증' 취득해요"…취업 잘 되는 자격증, 따로 있다

고용노동부 국가자격증 조사 결과
연령·성별 취업률 높은 자격증 상이

최근 서울서부고용센터에서 일자리 정보 살펴보는 구직자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영서 기자] 대중적으로 인기가 많은 자격증과 직장 취업이 잘 되는 자격증은 따로 있는 거로 조사됐다. 정부 기관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컴퓨터활용능력, 지게차운전기능사, 산업안전기사 등을 주로 많이 취득하지만, 정작 취업 시장에서 유리한 자격증은 전기산업기사, 산림기능사 등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취업 잘되는 국가기술자격정보 제공'을 20일 공개했다. 해당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 74만 명의 2024년 고용상태를 분석한 결과 미취업자(44만 5000명)의 절반(47.5%) 정도인 21만 1000명이 1년 이내에 취업했다. 자격증이 없는 사람의 취업률보다 7.9%포인트(p) 높은 수치다.

취업률이 가장 높은 자격증은 전기산업기사(73.9%)였다. 산림기능사(71.9%) 산업위생관리기사(71.5%)가 뒤를 이었다. 이는 취득 인원이 1000명을 초과한 자격증을 기준으로 매긴 순위다. 취득 인원이 200명 초과 1000명 이하 자격증에서는 에너지관리산업기사(79.4%)의 취업률이 높았다. 취득 인원이 200명 이하인 자격증 중에서는 승강기기사(82.1%)의 취업률이 높았다.

하지만 연령·성별에 따라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이 달랐다. 취득 인원이 1000명을 초과하는 자격증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층(19~34세)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5%) 전기산업기사(64.3%) 산업위생관리기사(61.2%) 순으로 취업률이 높았다. 고령층(55세 이상)은 전기기능사(58.1%), 한식조리기능사(54.3%), 조경기능사(50.3%) 순이었다.

남성 취득자의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은 기계정비산업기사(67.0%) 전기산업기사(66.9%) 공조냉동기계기능사(57.9%) 순이었다. 여성은 웹디자인기능사(57.8%) 컴퓨터활용능력2급(53.3%) 직업상담사2급(51.5%) 자격증의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집단별 선호하는 자격증과 취업률이 높은 자격증이 달라 개별 특성에 맞는 취업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임영미 고용부 직업능력정책국장은 "이번 분석 결과는 취업을 목적으로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는 구직자들이 취업에 유리한 자격증을 선택하여 취업 경쟁력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국가기술자격증이 직업능력개발과 국가 경쟁력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6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

7퓨리오사AI 방문한 이재명...“중요한 건 먹고 사는 문제, 희망 보인다”

8한미약품, 美 AACR서 비임상 연구 성과 11건 발표

9네이버,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한국의 핫플 소개하는 ‘비로컬’(BE LOCAL) 캠페인 선보여

실시간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