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주 이대목동병원 교수팀, 조산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김영주 교수팀은 ‘자궁경부 질액의 폴리-시알릴화 글리칸은 조산의 잠재적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Poly-sialylated glycan of cervicovaginal fluid can be a potential marker of preterm birth)’라는 제목의 논문을 공개했다. 이 논문은 SCI급 국제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 인터넷판 4월호에 게재됐다.
김영주 교수팀은 만삭과 조산 임산부의 자궁경부 질액 내 N-글리코실화를 분석해 조산 예측도가 높은 3개의 폴리-시알릴 글리칸을 발견했다. 자궁경부 질액 내 단백질의 부위별 N-결합 글리코실화가 만삭과 조산 임산부에서 조산 예측 바이오마커로 각각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비교 분석했다.
6595개의 N-결합 글리코펩타이드를 분석한 결과 조산 임산부는 173개의 글리칸이 만삭 임산부와 비교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낮은 수준의 푸코실화와 높은 수준의 시알리화 글리칸의 특징도 나타났다. 질액 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에 상관없이 모든 샘플에서 나타난 3개의 폴리 시알릴화 글리칸도 발견해 높은 조산 예측값(AUC=0.802, p<0.017)을 보여줬다.
자궁경부 질액은 기능성 단백질들이 다양한 글리칸 구조로 혼합돼 있다. 이런 당단백질의 당화 발현은 숙주-병원체 인식, 면역 방응, 세포 신호, 임신 상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조산을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 쓰일 수 있다는 명확한 연구 결과는 드물다고 김영주 교수팀은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5명 중 3명 이미 가입…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2000만명 돌파
2국민은행, 경북 산불 피해기업에 150억원 규모 금융 지원
3“실력으로 승부” 우리은행, 인사카드서 ‘학력·병역·출신지’ 뺀다
4“재미·보상 한 번에” 카카오뱅크, 앱테크 등 혜택 서비스 3종 추가
5한국투자증권 ALP 원우회, ‘사랑의 도시락 나눔 활동’ 실시
6국민카드, 카드 결제 인프라 활용해 상생 실천
7거래소, 태국증권거래소와 차세대 청산결제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8'삐끼삐끼' 이주은 컴백…"우승 그날까지" 대만 활동은?
9서인영, 이혼 이후 근황…단발 하고 "곧 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