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년 연속 최대 실적...투썸플레이스, 지난해 영업익 326억

시그니처·신제품 전략 주효…디지털 전환·상생 정책도 성과

투썸플레이스 로고. [사진 투썸플레이스]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투썸플레이스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다시 한 번 경신하며, 2년 연속 의미 있는 성장을 이어갔다.

투썸플레이스는 지난해 매출 5200억원, 영업이익 326억원을 기록하며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8.3%, 영업이익은 25.2% 늘어난 것이다.

이번 성과는 ‘스초생’, ‘아박’ 등 시그니처 제품 캠페인과 함께 ‘아샷추’, ‘복숭아 생크림 케이크’ 등 신제품이 매출 상승을 견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해 소비자 매출 11%, 동일 점포 매출은 7% 증가했다. 신제품 매출은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특히 투썸플레이스는 지난 연말 홀리데이 캠페인으로 ‘화이트 스초생’을 새롭게 선보이며 라인업을 확장했다. 여기에 ‘스초생은 겨울이 제철’이라는 메시지의 틀을 깬 광고 캠페인이 시너지를 더했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 홀케이크 판매량은 창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스초생 라인업’ 연간 판매량은 첫 캠페인 전과 비교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브랜드 앱과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반의 고객 접점 확대에 주력하면서 투썸플레이스의 지난해 디지털 매출은 49% 증가했다. 브랜드 앱 월평균 방문자 수(MAU)는 전년 대비 15% 상승했다.

가맹점과의 상생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투썸플레이스는 정기적인 가맹점주협의회의 운영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캠페인 광고비는 본사가 전액 부담한다. 이는 가맹점 매출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투썸플레이스는 이달부터는 업계 최초로 ‘납품 대금 카드 결제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가맹점의 운영 효율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자, 보다 탄탄한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본사의 의지를 반영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문영주 투썸플레이스 대표는 “이번 성과는 브랜드 가치와 고객 만족, 그리고 가맹점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함께 이뤄낸 결과”라며 “앞으로도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로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파트너사 및 가맹점과의 상생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투썸플레이스는 올해 하반기 브랜드의 정체성과 디저트 경쟁력을 집약한 플래그십 스토어 개점을 앞두고 있다. 이를 통해 디저트 특화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프리미엄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하나금융, 美 라스베이거스서 지드래곤과 콜라보 광고 공개한다

2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획득

3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

4김병현 "이자만 받아도 사업보다 많아" 연봉 얼마나 많았길래…

5이동욱 이주빈에 동거 제안…"오늘을 기억해" 왜?

6샤이니 태민·노제 열애설 불붙어…'두 사람, 껴안거나 팔짱'

7돌아온 바이든 "트럼프, 도끼 내리쳤다"...날 선 비판 왜?

8토지거래허가 해제 효과…서울 아파트값·거래량 '쑥'

9미래에셋증권, 사내 AI 활용 확산 위해 ‘AIOps 플랫폼’ 구축

실시간 뉴스

1하나금융, 美 라스베이거스서 지드래곤과 콜라보 광고 공개한다

2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획득

3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

4김병현 "이자만 받아도 사업보다 많아" 연봉 얼마나 많았길래…

5이동욱 이주빈에 동거 제안…"오늘을 기억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