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예금금리만 떨어지네”…은행 예대금리차 8개월 연속 확대
- 올해 3월 5대 은행 가계대출 예대금리차 1.38∼1.55%p
공시 이래 최대 수준…NH농협·신한·KB국민·하나·우리 순

5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38∼1.55%포인트(p)로 집계됐다. 정책서민금융 상품은 제외했다.
은행별로 보면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1.55%p로 가장 컸다. 이어 신한(1.51%p)·KB국민(1.49%p)·하나(1.43%p)·우리(1.38%p)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3월 예대금리차가 7.17%p로 1위 자리를 지켰다. 2∼4위의 한국씨티은행(2.71%p)·제주은행(2.65%p)·토스뱅크(2.46%p)·광주은행(2.34%p)도 2%p를 웃돌았다.
2월과 비교하면 NH농협·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가 한 달 사이 각 0.08%p, 0.11%p, 0.16%p, 0.03%p, 0.08%p씩 벌어졌다. 일부 은행에서 예대금리차가 좁혀지는 달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지난해 8월 이후 확대되는 추세다. NH농협·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7월 대비 0.70%p, 1.31%p, 1.05%p, 0.90%p, 1.23%p 높아졌다.
예대금리차 확대는 지난해 3분기 수도권 주택 거래와 관련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자 당국이 은행들에 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했고, 이에 은행권이 8월부터 앞다퉈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여러 차례 올린 뒤 아직 충분히 내리지 않으면서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난달에도 은행들은 줄줄이 예금금리를 인하했다. SC제일은행은 지난달 23일 5개 예금 상품의 금리를 최대 0.15%p 낮췄고, 같은 날 카카오뱅크도 정기예금과 자유적금 금리를 0.10∼0.15%p 내렸다. 앞서 우리은행과 토스뱅크가 15일 예·적금 금리를 0.10∼0.25%p, 0.20%p씩 인하했고, IBK기업은행 역시 16일부터 26개 예·적금, 입출금식 상품의 금리를 0.10∼0.50%p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일 기준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2.58∼3.10%로 떨어졌다.
은행연합회 공시가 시작된 2022년 7월 이래 최대 예대금리차 기록도 속출했다. 신한은행(1.51%p)과 하나은행(1.43%p)의 3월 예대금리차는 공시 집계가 존재하는 2년 9개월 사이 가장 컸다. 이어 KB국민은행(1.49%p)은 2023년 1월(1.51%p) 이후 2년 2개월 만에, 우리은행(1.38%p)의 경우 2023년 2월(1.46%p) 이후 2년 1개월 만에 예대금리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NH농협은행의 1.55%p도 2023년 12월(1.71%p) 이후 1년 4개월 내 최대 폭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양희은, 사칭 계정에 분노 “너 이름 뭐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독수리 고공비행..한화, 7연승으로 선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韓 "만나자 3번 말해" vs 金측 "오해 부추겨"…단일화 신경전(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DN솔루션즈 상장 철회는 시장 탓일까 과한 몸값 탓일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바이오 월간 맥짚기]기업가치 평가 시험대 열렸다...주인공 누가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