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파월 “무엇이 옳은 대응인지 전혀 알 수 없다”…관세발 복합 리스크에 정책 유보
- 6월 금리 인하 기대 후퇴…“지금은 기다릴 수 있어”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세 번째 동결이다. 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 모두 뚜렷한 방향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판단 아래, 연준은 당분간 정책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은 7일(현지시간)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말로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우리의 정책은 적절한 위치에 있고, 지금은 기다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 중 어떤 리스크에 대응해야 할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국면이라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회의 전까지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전망이 적지 않았지만, 연준의 기조는 신중함을 유지하는 쪽에 가깝다. 파월 의장은 “고용은 여전히 견조하며,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특별한 증가세는 없다”며 “선제적으로 움직이기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지켜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번 FOMC 성명에서도 “노동시장은 여전히 견고하지만,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표현이 담겼다. 연준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고용 둔화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에 대한 경계감을 드러냈다.
연준의 고민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단행한 고율 관세 정책에 기인한다. 미국은 최근 글로벌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했고, 중국산 제품에는 145% 이상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여기에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주요 품목에도 추가 관세가 적용되면서 물가 자극 요인이 크게 늘어난 상태다.
파월 의장은 “관세 조치가 인플레이션에 얼마나 빠르고 강하게 반영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며 “지금은 정책을 성급히 조정하기보다는, 가격 전가 과정과 고용시장 흐름을 모두 지켜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하의 조건과 관련해선 “노동시장이 뚜렷하게 약화되고, 고용 증가세가 멈추거나 실업률이 상승할 경우 통화정책 대응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와 동시에 인플레이션이 심화된다면, 정책 대응 여지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연준의 핵심 과제”라며 “관세의 효과가 일시적일지, 지속적일지는 추후 지표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감개무량하다” 남보라, 오늘(10일) 결혼…박진주·김민영 축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감개무량하다” 남보라, 오늘(10일) 결혼…박진주·김민영 축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북한도 이렇게 안해" "곱게 미쳐라"…국힘 내전 확전일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韓 AI신약개발 진단]① K-신약 인공지능, 美와 격차 벌어지는 까닭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