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신입사원 절반 이상, 3년 內 퇴사…"직무 부적합·연봉 불만"
- 퇴사 방지 프로그램 운영율 34.5% 그쳐

13일 HR(Human Resource)기업 인크루트가 기업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입사원 조기 퇴사'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퇴사한 신입사원의 근속연수는 1~3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조기 퇴사 신입사원의 60.9%가 3년 이내에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4개월~1년 미만(32.9%) 3개월 이하(6.3%) 순이었다.
인사 담당자들은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직무 적합성 불일치(58.9%)에서 비롯됐다고 파악했다. 그 외에도 낮은 연봉(42.5%) 맞지 않는 사내 문화(26.6%) 상사 및 동료와의 인간관계(23.4%) 일과 삶 균형을 뜻하는 워라밸 부족(17.1%) 기타(7.7%) 등의 이유로 퇴사를 결정한 것으로 분석됐다. 해당 설문은 복수 응답이 가능하도록 구성됐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는 사내 조직 분위기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80.5%가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했다. 그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32.0%) 조직 문화 및 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등이 꼽혔다.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19.5%에 그쳤다.
조기 퇴사 방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업은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 방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34.5%에 그쳤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문제로 인식하면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장려금 및 포상휴가 지급(52.6%) 멘토링 제도 운영(38.3%) 등을 통해 신입사원을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특검조사 받는 尹…점심 설렁탕·저녁 김치찌개 식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송하윤 측 “학폭 의혹 유포자, 지명통보 수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최대 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지급…신청 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하반기 본게임 시작"…조단위 M&A ‘풍년’ 예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