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조기대선 앞두고 부동산 시장 방향성 진단
“강남, 용산 등 토허제 규제, 기준금리 인하 등이 시장 핵심 변수”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NH투자증권은 6월 조기 대선에 앞서 '부동산 공약 분석 및 대선 이후 전망 – 새 시대, 익숙한 불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정책을 분석한 결과 세 후보 모두 주택 공급 확대와 정비사업 활성화를 핵심 과제로 삼았고, 청년·신혼부부 등 실수요자 중심 정책을 강조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재명 후보는 공공 중심 도심 개발 및 균형발전, 김문수 후보는 규제 철폐와 지방 권한 강화, 이준석 후보는 민간 중심 공급과 실용적인 제도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을 차이점으로 꼽았다.
정보현 NH투자증권 Tax센터 부동산 연구위원(NH WM마스터즈 전문위원)은 “이번 대선에서는 후보 간 부동산 공약의 방향성이 비슷한 만큼,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통상 환경, 금리 인하 시점, 강남·용산 등 주요 규제지역의 해제 여부, 그리고 수급 여건이 시장 흐름을 좌우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은 유효하나, 시장 참여자들은 더욱 복잡한 변수들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중장기적으로 서울과 수도권은 정비사업 가시화 지역 중심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지방은 광역시 및 산업기반 지역을 중심으로 점진적 회복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구조적으로는 1주택 중심 고가 자산 집중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향후 시장의 핵심 변수로는 ▲강남·용산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지속 여부(9월 30일 지정 연장 여부)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2~3차례 인하 전망) ▲공급 확대 공약의 현실화까지 필요한 시간과 정비사업 기대수요 ▲지방 부동산 시장의 선택적 회복 기대 등을 제시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해소와 건설경기 회복 기조가 일부 회복 흐름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해당 보고서 원문은 NH투자증권 공식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유나 NH투자증권 부동산 책임연구원은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보다 지금은 불확실성에 대한 막연한 우려보다는 자산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실수요자와 투자자 각각의 전략을 재정립할 시기”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학생들은 대피”…청주 한 초교서 외부인 숨진 채 발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선정 "故 김새론 이용? 소신대로 했을 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막내린 용산 시대…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백기사’로 얽힌 재계…경영권 분쟁 때 빛나는 동맹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