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경북, 귀농은 줄고 귀촌은 늘었다…"농촌 정착 트렌드 변화 뚜렷"
- 귀농 1,537가구로 전국 1위지만, 3년 연속 감소세
귀촌은 38,782가구, 전년 대비 14.1% 증가

통계청이 지난 24일 발표한 2024년 귀농귀촌 통계조사에 따르면, 2023년 경북으로 귀농한 인구는 1,537가구, 1,94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지만, 전년 대비 19.6% 감소하며 3년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전국 귀농가구가 1만 307가구에서 8,243가구로 20%가량 줄어든 추세와 궤를 같이한다.
반면, 귀촌인구는 증가세가 뚜렷했다. 지난해 경북으로 귀촌한 인구는 38,782가구, 51,654명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했다. 전국적으로 귀촌가구는 4% 증가했으나, 경북은 그 네 배에 달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대해 주소를 옮기지 않고 농촌을 체험하는 수요 증가, 50대 중심 귀농층의 도시 고용시장 선호, 젊은 층의 장기 계획에 따른 선 귀촌·후 귀농 방식 확산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실제로 농촌에서 살아보기, 체류형 쉼터 프로그램 등 경험 중심 귀촌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이 같은 경향을 뒷받침한다.
경북도는 이 같은 흐름에 대응해 귀농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지원 확대에 나섰다. 시설·농기계 비용 지원, 기존 영주·영천에만 있었던 체류형 농업 창업지원센터를 추가 설치해 도시민들의 농촌 적응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맞춤형 농업창업 교육 및 기술 전수도 함께 진행된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귀농 수요가 줄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개별수요에 맞춘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귀농 및 수요자 중심 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경북에서 귀농·귀촌인들이 지속 가능한 삶을 꾸릴 수 있도록 도 차원의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성철 기자 thor010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민수 전처, 아들 윤후에게 감동... “건강만 챙겨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다혜, 과감한 모노키니로 '해변 여신' 등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미·일 일정 마치고 귀국길…필라델피아서 마지막 인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교직원공제회, 뉴욕사무소 파견 인원 선발…관건은 '교육부 승인'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셀비온, 국내 첫 방사선치료제 상용화...‘코아스템켐온·유한양행처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