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北에서도 '쌍수' 가능하다? 법까지 제정…무슨 사연?
- 38노스, 관련법 개정 등 '전문 공개'
'성전환 수술' 특이 경우 제외 '금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북한 '성형외과치료법'이 2016년 제정된 뒤 2차례 개정 등을 거치며 시행 중으로 보인다면서 전문을 공개했다.
2024년 2월 개정된 최신 법 조항을 들여다보면 제11조(치료 대상)에서는 선천성 기형, 화상, 종양 치료 등으로 외모가 변형된 환자를 성형 수술의 대상으로 먼저 제시한다.
여기에 "손상은 없으나 외모를 보다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성형외과치료를 요구하는 대상"에게도 성형수술을 허용함으로써 미용 목적의 성형 수술을 폭넓게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법은 특정한 경우 성형수술을 엄격히 제한한 것으로 파악된다. '얼굴 모습을 완전히 다른 사람의 모습으로 변형'시키거나 '지문을 바꾸는 성형' 수술이 대표적이다.
38노스는 이런 금지 조항에 대해 북한 내부의 보안 문제가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특히 북한 내에서 생체인식 보안장치의 중요성이 커졌을 가능성도 엿보인다고 38노스는 분석을 내놓았다.
북한은 특히 '성전환 수술'도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면 금지했다. 법 조항에는 '특이한 경우'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북한은 '성형외과 전문가 자격'을 가진 의사가 성형외과 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만 성형외과 치료를 할 수 있게 했다. 그러면서 "성형외과치료를 받으려는 환자를 친절하게 대해주고 온갖 지혜와 정성을 다 바쳐 치료하여야 한다"고 의료진의 의무도 규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38노스는 "이런 법이 존재한다는 것은 합법적 시술 건수가 매우 많거나, 불법 시술 문제 등이 발생해 규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성형외과치료법 전문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북한의 관영매체나 북한 관련 외신 등을 통해 북한 내 성형외과 수요가 커지고, 의료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따금 알려지기도 했다.
2007년에는 북한 내에서 쌍꺼풀 수술·눈썹 문신 수요가 커졌다는 데일리NK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 매체는 2019년 '아마추어 안면외과의'가 불법 시술 혐의로 사형당했다고 보도한 바 있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소비쿠폰 5만원 더 준다고요?"…지역별 금액 보니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결혼' 민아 "정말 뜨거웠다"…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1.8조’ 추경 확정…비수도권 주민 '최대 55만원' 받는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하반기 본게임 시작"…조단위 M&A ‘풍년’ 예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