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청년 사업자, 창업 대신 폐업 선택…'35만명 벽'도 무너졌다
- 고금리·내수 부진 직격탄

14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사업체를 운영 중인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35만4672명(월평균)으로 1년 전보다 2만6247명 감소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7년 9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통상 가동 사업자는 경제 규모가 커짐에 따라 늘어난다.
실제로 청년 가동사업자는 통계가 집계된 뒤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와중에도 늘어난 것이다.
코로나19 때인 2020∼2022년에도 매 분기 늘었다. 엔데믹 이후 고금리 여파로 폐업자가 급증한 2023년에도 2분기(2211명)와 4분기(6779명)에도 증가 폭이 1만명 밑으로 축소되기는 했지만 증가세는 유지됐다.
하지만 작년 3분기 1만9400명 줄며 처음 감소했고, 이어 4분기(-2만1527명)와 올해 1분기에는 감소 폭이 더 커졌다.
가동 사업자가 줄었다는 것은 창업보다 휴·폐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전체 폐업자는 2023년부터 늘고 있으며 작년에는 100만명을 처음 넘어섰다.
폐업자 상당수가 경영 노하우와 자본력이 취약한 청년 사업자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청년 사업자 감소는 소매업에서 두드러진다.
올해 1분기 소매업에 종사하는 청년 사업자는 12만7089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185명 줄었다.
소매업은 청년 사업자 약 3분의 1이 몰려 있는데 1분기 청년 사업자 감소의 62%가 소매업에서 나타났다.
소매업 청년 사업자는 작년 3분기 처음 감소(-8806명)했고 반년 만에 감소 폭이 두배로 커졌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4만6269명)도 1분기 5507명 줄었다. 역시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작년 3분기부터 분기마다 음식업 청년 사업자가 약 5000명씩 사라지고 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부분 청년 창업자는 음식점·카페 같은 기술 기반이 없는 자영업을 한다"라며 "이런 업종이 대부분 포화 상태거나 수요가 많지 않다"라고 말했다.
건설경기 부진으로 건설업 청년 사업자(1만4472명)도 1분기 역대 최대폭(247명) 감소했다. 작년 3분기 처음 감소세로 돌아선 뒤 3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청년 사업자 감소는 최근 청년 고용 부진과 맞물려 우려를 키운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작년 5월부터 13개월 연속 뒷걸음질 치고 있다. 청년층 실업률도 올해 초 상승세를 보이면서 7% 내외를 맴돌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청년 고용시장이 녹록지 않다 보니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라며 "청년 창업은 중장년층과 비교하면 부채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폐업으로 내몰리기 쉽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프로야구 키움, 감독·단장·수석코치 보직 해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나래, 도난 당한 모두 돌려 받아..범인 근황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여성’ 떼고 ‘성평등’ 가족부 출범하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자본시장 신뢰 깬 기자 선행매매…‘주식 거래내역 공개’ 도입되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퀀타매트릭스 대표 "사람 살리는 솔루션…도입 병원 대폭 확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