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살기 너무 팍팍해요"…경기도민 86%, 생활 물가에 체감 고통

25일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19세 이상 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영향 및 평생교육 수요'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6.6%가 생활물가 상승을 '매우 또는 다소 심각하게 느낀다'고 답했다. '심각하다'는 답변은 여성(90.3%)과 30대(88.5%)에서 월등히 높았다. 월평균 가구소득 276만원 미만 저소득층에서는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40.3%에 달했다.
물가 상승이 생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율도 70.4%에 달했다. 이 중 19.0%는 '매우 어렵다', 51.4%는 '약간 어렵다'고 했다. 물가 안정 정책에서 가장 우선돼야 할 품목으로는 '달걀'(41.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쌀(18.2%) 야채(13.4%) 돼지고기(9.4%) 등의 순이었다. 이달 상순 계란(특란) 30개 소매 가격은 7089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60479원과 비교할 때 9.4% 올랐다.
응답자 중 59.8%는 실제 물가 대응 교육 참여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교육 선호 방식으로는 '언제든 시청 가능한 온라인 강의'가 55.2%로 가장 많았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정부 바우처 제도인 '평생교육 이용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도민이 필요한 경제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것을 검토할 계획이다. 평생교육 이용권은 도민 누구나 경제적 부담 없이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를 1인당 최대 35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3일간 250% 폭등"…美 개미들 쓸어담은 이 종목 정체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원빈♥이나영, 10년 만 투샷 포착…의외 인물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일간 250% 폭등"…美 개미들 쓸어담은 이 종목 정체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슈퍼달러에 웃었던 국민연금, 올해 환율 효과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인투셀, 中 선행특허 상장 전 인지 정황...거래소에도 함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