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바르고 붙이고 마신다…PDRN, 뷰티 업계 핵심 성분 부상
- 글로벌 시장 규모 10조…온라인 언급량 1년 새 490% 증가
겔 마스크·패치 넘어 액상·필름 등 제형 다변화로 소비자 공략

[이코노미스트 강예슬 기자] 최근 뷰티 업계에서 세포 재생과 피부 회복을 돕는 성분인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 인기를 끌며 피부관리를 넘어 이너뷰티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
PDRN은 연어나 송어의 생식세포에서 유전자(DNA) 조각을 추출한 재생 물질이다. 손상된 피부 조직 회복과 콜라겐 생성을 촉진해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강화에 도움을 줘 최근 고기능성 스킨케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킴 카다시안 ‘연어 주사’로 인기 ↑
PDRN이 대중적으로 유명해진 건 킴 카다시안과 제니퍼 애니스톤 등 미국 할리우드 스타가 미용 시술로 PDRN 성분이 포함된 ‘연어 정액 주사’를 맞았다고 밝히면서다.
국내에서는 파마리서치가 2008년부터 자체 개발을 시작해 지난 2012년 상용화에 성공했다. 파마리서치의 대표 브랜드인 ‘리쥬란’이 바로 PDRN·PN 기반의 제품이다.
2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PDRN 관련 글로벌 시장 규모는 지난해 76억8000만달러(약 10조6100억원)에 달했다.
PDRN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가파르게 올라가는 추세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빅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뉴엔 AI’(NEWEN AI)가 발간한 월간 뷰티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온라인상에서 PDRN의 언급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490% 증가했다.
1년 새 5배 가까이 화제성이 증폭된 셈이다. 지난 2023년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온라인 언급량이 늘기 시작해 폭발적인 성장세를 맞았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올리브영 온라인몰에서도 상반기 PDRN 검색량이 1년 전보다 10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DRN 관련 시장이 커지고 주요 화장품의 핵심 원료로 떠오르면서 관련 상품도 늘고 있다. 병원 시술과 전문 피부관리 제품에 주로 쓰였던 PDRN은 최근 크림, 앰플, 패치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는 모습이다.

에이피알, PDRN 주목…전용 공장도 설립
에이피알은 중장기 성장 전략의 하나로 PDRN을 활용한 ‘스킨부스터’ 시장을 눈여겨 보고 있다. 피부 재생 및 탄력 개선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상황에 주목해 PDRN이 핵심 성분인 신제품 개발과 시장 진입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현재 에이피알은 화장품 브랜드 메디큐브에서 다양한 PDRN 제품을 선보인다. ‘PDRN 핑크 펩타이드 앰플’과 ‘PDRN 핑크 콜라겐 겔 마스크’가 주력 상품이다. 지난해 6월 출시된 두 제품은 올해 1월까지 각각 80만개, 150만개에 달하는 글로벌 누적 판매량을 달성했다.
메디큐브는 ▲토너 ▲세럼 ▲선크림 ▲아이크림 ▲미스트 ▲수분크림 등으로 PDRN 라인업을 확대했고, 경기도 평택시에 PDRN 제품 생산 전용 공장도 구축 중이다. 평택 공장이 완공되면 PDRN을 사용한 바이오·헬스케어 상품도 출시할 계획이다.
아누아는 작년 9월 인공눈물 용기처럼 생긴 ‘PDRN 히알루론산 캡슐 100 세럼’(PDRN 눈물세럼)을 내놓은 뒤 인기를 얻자 수분크림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 전문기업 ‘라파스’는 지난 5월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성분으로 알려진 ‘레티놀’과 PDRN을 결합한 패치 형태의 제품 ‘레티알엔’(Reti-RN)을 선보였다.
PDRN은 바르고 붙이는 화장품에 이어 먹는 이너뷰티 상품에도 활용되는 추세다.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탄탄’(tantan)은 최근 신규 이너뷰티 라인 ‘탄탄뷰티’를 론칭하고, ‘마시는 PDRN’을 내세운 액상형 앰플 ‘PDRN 샷’을 출시했다. 고함량의 PDRN을 한 포에 담아 간편하게 섭취하고, 액상으로 흡수율을 높인 점이 특징이다.
HLB제약은 지난 4월 구강 용해 필름 제형의 먹는 PDRN인 ‘나티아 PDRN 다이렉트’를 내놨다. HLB제약에 따르면 나티아 PDRN 다이렉트는 출시 이후 한 달 동안 누적 42만장(필름 기준) 판매됐다.
뷰티 업계 관계자는 “최근 주름·탄력·피부 장벽 강화 등 근본적인 피부 고민을 개선하려는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PDRN이 뷰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며 “PDRN은 안전성과 효능 면에서 경쟁력이 높아 다양한 제품군에 활용 가능한 원료”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정주형, 택진이형도?" AI인재 '병역특례' 부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미선 측 “병명 공개 어려워…현재 휴식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우리가 왜 대기업입니까?”…휴일 셧다운에 사장님들 '울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세금 0원에 150억 환차익 ‘잭팟’…유럽 빌딩 투자했더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압타바이오, 급성신손상 예방약 내년 기술이전 자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