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트럼프발 고율 관세… 중견기업, '수출 금융·세제 지원' 요구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123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가장 많은 36.6%가 '일정 부분 손해지만 불가피한 상황이었다고 본다'고 답했다.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본다(23.6%)', '득보다 실이 크다(21.1%)', '판단을 유보하거나 잘 모르겠다(18.7%)'가 뒤를 따랐다.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대미 수출 관세율에 대한 질문에는 '5% 이하'를 꼽은 기업이 41.5%로 가장 많았고, '10% 이하'(25.2%), '15% 이하'(21.1%) 등 실제 관세 협상에서 합의한 15%보다 낮은 관세율을 기대한 중견기업이 87.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15% 관세율에서는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수출 경쟁력 하락'(32.9%·복수응답)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현지화 필요성 증가'(15.5%), '별다른 영향 없음'(14.3%), '경쟁국 대비 미국 수출가격 경쟁력 제고'(13.0%), '원청의 납품단가 하락 압박'(8.7%), '미국 시장 진출 확대'(4.3%) 등의 순으로 답했다.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통상 애로 해소를 위한 정부 지원 방안으로는 가장 많은 52.8%가 '수출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를 꼽았다. 이어 '미국 세관·수입 절차 대응 매뉴얼 및 전문가 매칭'(16.3%), '협상 결과에 따른 피해 업종 대상 보완대책 마련'(11.4%), '미국 수출품목에 대한 관세 정보 및 대응 가이드 제공'(8.1%), 원가 절감 기술·R&D 지원(7.3%) 등을 요구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통상 규범을 위배하는 일방적 조치가 이어지고 있지만 중견기업 수출의 약 16.6%를 차지하는 미국과의 호혜적 통상 관계는 우리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필수 요건"이라며 "한미 정상회담을 비롯해 미국과의 다양한 협상 과정에서 국익을 우선으로 한 실용적 접근으로 무역·통상 불확실성을 일소해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학맘, 美 소포 보낼 때 절약법…4.5kg 이상 무겁게 보내세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박미선 측 “병명 공개 어려워…현재 휴식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월가 애널 시선 쏠린 '이 종목'…폭풍질주 못 막는다, 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세금 0원에 150억 환차익 ‘잭팟’…유럽 빌딩 투자했더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압타바이오, 급성신손상 예방약 내년 기술이전 자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