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0세 영아도 억대 수익 신고?"…미성년자 임대소득 593억, 역대 최대
- 조기 상속·증여가 주된 배경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만 18세 이하 미성년자 3313명이 임대소득을 올렸고, 이들의 총액은 593억70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눈에 띄는 점은 연령별 소득 구간이다. 미취학 아동(0∼6세) 311명이 무려 45억8100만 원의 임대수익을 올렸으며, 심지어 0∼1세 영유아 11명도 평균 1355만 원씩 총 1억4900만 원을 벌어들였다. 초등학생(7∼12세) 1038명은 168억9400만 원, 중·고등학생(13∼18세) 1964명은 378억9300만 원을 기록해 연령이 높을수록 규모가 커지는 흐름을 보였다.
사업소득 역시 같은 기간 증가세를 나타냈다. 2023년 사업소득을 신고한 미성년자는 1만3744명으로 전년보다 2400명 늘었고, 총액은 595억5800만 원에 달했다. 특히 중·고등학생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미취학 아동 110명도 8억2600만 원을 신고해 ‘꼬마 사업가’의 존재를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조기 상속·증여의 영향으로 해석한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실제 경제 활동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생까지 소득을 신고하는 것은 변칙 상속·증여 가능성이 있다"며 "국세청의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세청은 올해(2024년) 귀속 부동산 임대소득 현황을 오는 12월 공개할 예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캣츠 출신 김지혜, 쌍둥이 출산 후 근황... “잘 지내고 있어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공사장 간 前 아이돌.."통장에 천 원도 없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대주주 10억 기준, 굳이 고집할 필요없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5조' 복정역 환승센터 개발, 토지계약 '아직'…연말까지 협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연내 빅딜 기대감’ 큐라클·지투지바이오 급등[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