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美 체포·구금 8일 만...韓 근로자 316명 고국 품으로
- 대한항공 전세기 KE9036편 인천공항 착륙
한국인 316명 포함 총 330명 근로자 탑승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현지시간) 오전 11시 38분경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출발한 대한항공 전세기 KE9036편은 이날 오후 3시 23분 인천공항 활주로에 착륙했다.
해당 전세기에는 한국인 316명(귀국 포기자 1명 제외)과 외국 국적자 14명(중국 10명·일본 3명·인도네시아 1명) 등 총 330명이 탑승했다.
이들은 모두 조지아주 남부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 억류돼 있던 근로자들이다.
해당 전세기에는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를 비롯한 정부·기업 관계자와 의료진 21명도 동승했다. 총 탑승 인원은 351명이다.
전세기가 무사히 인천공항에 착륙하면서, 한국인 근로자들은 체포·구금 8일 만에 고국 땅을 밟았다. 입국 후 이들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가족과 재회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 이민당국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엘러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17명을 포함해 총 475명을 체포했다. 이유는 불법 체류 혐의 등이다.
한국 정부는 즉각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에 나섰다. 사태 발생 사흘 만인 6일부터는 주애틀랜타 총영사관 관계자가 구금시설을 찾아 억류자들을 면담했다.
이후 석방 교섭이 진행되면서 한국시간으로 10일 오전 10시 21분 인천공항에서 전세기가 출발해 애틀랜타로 향했다.
당초 귀국편은 한국시간 11일 오전 3시 30분 출발 예정이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잔류 요청과 석방자 처우 문제 등이 얽히면서 일정이 하루가량 미뤄졌다.
귀국한 근로자들에 대해 미국 정부는 향후 재입국 과정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지난 10일 백악관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나 같은 요청을 전달했으며,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 요청을 신속히 검토하고 조치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 석방 근로자들 귀환…LG엔솔 "한달 유급휴가 지원"(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KBO 출범 44년 만 누적 관중 2억명 달성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얼싸 안고 눈물 흘리고"…`美 구금` 근로자, 가족 상봉 현장(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혁신 기대했는데…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개점휴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보령과 맞손 큐라클 上, 수출호재 넥스트바이오 상승[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