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한미약품 비만약, “비임상서 근육 증가·지방 감량 효과"
- HM17321, 근육 증가 기전 최초 규명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한미약품이 세계 최초로 근육 증가를 실현하는 ‘신개념 비만 신약’의 작용 기전을 제6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발표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EASD 2025에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와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HM17321) ▲경구용 비만치료제(HM101460) 등 3개 비만 신약에 대한 6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주요 발표 내용은 ▲HM17321의 근육 성장 및 대사 개선 효과를 뒷받침하는 골격근 단백체 분석 ▲HM17321의 비만 영장류 모델에서 체중 감량 효능 및 설치류 모델에서 인크레틴 병용 효능 ▲HM17321의 체성분 개선, 에너지 소모 및 대사 건강 증진 효과 입증 ▲혈액단백체 기반 HM17321의 근육 및 골격 건강에 대한 잠재적 이로운 효과 ▲HM15275의 강력한 항비만 효과에 대한 기전적 통찰 ▲HM101460의 경구용 GLP-1 작용제 가능성 입증 등이다.
전해민 한미약품 R&D센터 임상이행팀장(상무)은 학회에서 ‘HM17321’을 투약한 동물 모델의 근육 단백체 연구를 통해 분자생물학적으로 근육 증가 기전을 규명하고, 대사 적응을 통한 혈당 조절 효과를 입증한 결과를 발표했다.
HM17321은 단순히 근손실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세계 최초의 비만 혁신 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다.
구연 발표에서는 HM17321이 mTOR(라파마이신 표적 단백질) 경로 활성화와 당분해 의존 대사 적응을 통해 근 성장을 유도한다는 연구 데이터가 공개됐다. 한미 연구진은 HM17321이 근육 내 조절 T세포 활성화를 통해 근세포 기원인 '위성 세포'의 분열과 분화를 촉진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다른 연구에서는 HM17321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만 영장류 모델’에 장기간 투약한 결과, 체지방 선택적인 체중 감량과 동시에 제지방량 보존 효과가 재현됐다. 아울러 당부하능 실험(GTT)에서는 혈당 조절 능력 향상과 함께 혈중 중성지질 감소 효력을 통한 대사적 이점과 혈압 강하를 통한 심혈관 관련 이점도 나타났다.
한미약품은 “HM17321이 웨이트 트레이닝의 생리적 근육 증가 메커니즘을 차용해 근성장을 유도한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잠재적 독성 위험이 낮고 근육의 양적·기능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박순관 아리셀 대표 징역 15년형 "매출만 강조, 안전 지시 없어"(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극우 표현 논란' 임시현, SNS서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통령 시계부터 8도 수산물까지’…李대통령, 첫 추석 선물 공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중복상장·복잡한 지배구조…에식스솔루션즈 연내 상장심사 '빨간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화이자, 멧세라 인수에 디앤디파마텍 상한가, 美 타임이 픽한 뉴로핏도 초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