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살루스케어, 건강예측·관리 서비스 연구 본격화 '제2형 당뇨·심장질환까지'

디지털 헬스케어 선도 기업 살루스케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모한 ‘2025년도 AI 기반 맞춤형 케어 서비스 융합선도(R&D) 사업’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4년간 2단계에 걸쳐서 최대 110억원의 연구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전략형 연구개발 과제이다.
살루스케어는 서울아산병원, 차의과학대학교 AI오믹스센터,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렉스소프트, 메디팜소프트, 삼육대학교, 에버엑스, 하이 등 8개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였다. 각 기관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활 습관 등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생물학적 특성 전반을 의미하는 페놈 데이터의 수집, 페놈 데이터를 활용한 AI 모델의 개발, AI 모델을 탑재한 맞춤형 라이프코칭 서비스의 개발을 유기적으로 수행한다.
살루스케어 컨소시엄은 한국인에 맞는 맞춤형 라이프코칭을 실현하기 위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페놈 데이터와 기초 모델을 활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제2형당뇨, 요통, 골관절염, 심장질환, 유방암 등의 5대 관심 질환과 보편적 건강상태에 대한 단기, 중기, 장기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 및 고도화하고 대상 질환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개발된 서비스는 건강한 사람들의 미래 건강 상태를 예측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는 운동, 식습관, 수면 습관, 두뇌활동, 사회적 활동 등의 라이프 코칭을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살루스케어는 자사가 보유한 채널을 활용해 의료기관 연계 실증까지 수행할 계획이다.
이러한 살루스케어 컨소시엄의 전략은 정부의 바이오헬스 전략과 AI 일상화 정책에 부합하는 선도 사례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전체 과제 책임을 맡은 살루스케어 하성욱 대표이사는 “살루스케어는 누구나 스마트폰만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와 변화를 관찰·측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방대한 건강 데이터를 축적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건강 상태를 개선하려는 시도"라며 과제명을 '건강인의 맞춤 라이프 코칭을 위한 AI, 페놈 데이터 기반 정밀 건강예측 및 건강관리 기술 개발'로 정한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AI 기술과 페놈 데이터를 통한 예측 모델은 스스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시대를 만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살루스케어는 한국의학연구소의 10년 종적 건강검진 결과를 정제, 가공한 살루스케어 리서치 데이터베이스(Saluscare Research Database, SRD)를 구축했다. 또 건강 체크 서비스 ‘헬로(헬스케어 여기로)’를 통해 지속적으로 주요 생체신호를 수집해 왔다. 이러한 자사의 기반과 이번 연구개발 사업의 결과물을 응용하여 질병 특이적 디지털 바이오마커 기반의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개발하고 있다. 글로벌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및 초거대 멀티모달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구독형 B2B 지식 서비스 개발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금감원 노조, 야간집회 위해 거리로…금감원장은 해외 출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주승, 100억원 자산가 소문에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대목동·서울병원 전산 복구…"원인 파악 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금융사 매물 많은데…롯데카드 사태로 사모펀드 인수 '움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용호상박 K바이오] 엘앤씨바이오·한스바이오메드, 스킨부스터 대격돌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