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이더리움 ETF 진입 가능성 열려…신임 CEO 변화 주목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세계 2위 자산운용사 뱅가드(Vanguard Group)가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 거래 허용을 검토하고 있다. 뱅가드는 그동안 가상자산을 미성숙한 자산군이라며 강경하게 배제해 왔으나, 변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30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뱅가드가 결정을 내릴 경우,운용자산 11조달러(약 1경5200조원), 투자자 5000만명 이상이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뱅가드 고객은 자사 홈페이지에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ETF를 포함한 타사 상품을 거래할 수 없다.
뱅가드 대변인은 “브로커리지 서비스, 투자자 선호, 규제 환경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결정이 내려지면 고객에게 직접 알릴 것”이라고 밝혔다.
뱅가드는 수년간 비트코인 투자를 장기 투자자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해왔다. 창립자 잭 보글은 생전에 “비트코인을 전염병처럼 피하라”고 경고했고, 전 CEO 팀 버클리 역시 “비트코인 펀드는 만들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그러나 지난해 취임한 살림 람지 CEO는 블랙록 출신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에 관심을 보여왔다. 뱅가드 역사상 첫 외부 출신 수장인 람지가 기존 기조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가상자산 ETF 시장은 이미 급성장했다. 2024년 1월 첫 비트코인 현물 ETF가 출시된 이후 기록적인 자금이 몰렸고, 이후 이더리움 현물 ETF도 승인됐다. 현재 비트코인 ETF는 1420억달러 이상을 운용 중이며, 이 중 블랙록의 ‘IBIT’는 840억달러 규모로 전체 자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더리움 ETF ‘ETHA’도 150억달러를 모았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친(親)암호화폐 정책 기조와 기관투자자의 매수세가 맞물리며, 뱅가드의 태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고 보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유한양행, 고혈압藥 ‘트루셋’ 식약처 승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추성훈, 韓 문화에 충격 “日, 최소 30만 원 시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배임죄 폐지 정했지만, 피해자 구제 난제…민생 형벌은 과태료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호텔 투자 시장 활기…신라스테이 서부산 매물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피플바이오 혈액치매진단, 中 하이난 의료특구 허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