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전세사기 사범 2913명을 검거…국토장관 “보유세 늘려야” [AI 픽]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부동산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변합니다. 정책, 거래, 개발 소식이 쏟아지는 가운데, 이번 주 꼭 알아야 할 뉴스만 AI가 골라 드립니다. [AI 픽]은 한 주간의 주요 부동산 이슈를 5분 만에 훑어보는 압축 브리핑입니다.
AI에디터와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주(9월 29일~10월 1일 기준)에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주목받은 주요 이슈로 ▲전세사기 단속 성과와 제도 보완 논의 ▲지방 악성 미분양 부담 ▲국토장관, 보유세 개편 가능성을 주목했습니다.
전세사기 특별단속 1년, 2913명 검거
경찰청은 전국 경찰서에서 운영 중인 전세사기 전담수사팀을 중심으로 작년 8월부터 올 8월까지 전세사기 사범 2913명을 검거해 이 가운데 108명을 구속했다.
국토부 수사 의뢰 등을 토대로 ‘무자본 갭투자’ 수법을 이용한 보증금 가로채기, 전세자금 대출사기 등을 저지른 대규모 전세사기 조직 6개(282명 검거·13명 구속)에 대해 형법상 범죄단체 조직죄를 적용했고, 사기 피해 회복을 위해 538억원을 기소 전 몰수·추징 보전했다.
국토부는 이밖에 가격·계약일 거짓 신고 등 808건을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고, 편법 증여나 특수관계인 차입금 과다 등 56건은 국세청에 통보해 후속 조치가 이뤄지도록 했다. 정부는 AI 기반 전세사기 탐지 시스템을 도입해 상시 점검 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하지만 피해자 구제와 보상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악성 미분양 다시 증가…지방 집중 심화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주택을 지어 놓고도 팔리지 않는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이 지난달에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의 83.9%(2만3147가구)는 지방 소재 주택으로 집계되면서 지역별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는 모습이다.
정부는 ‘안심환매 사업’과 유동성 지원, 세제 혜택 등을 내놨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크다. 일각에서는 공급 조절 없는 대책이 반복되고 있다며, 구조적인 수급 관리 필요성을 강조한다.
국토부 장관 “보유세 늘려야”…연내 종합 대책 예고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장관 입장이 아닌, 인간(개인) 김윤덕 입장으로 보유세를 늘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간 “세금으로 집값을 잡지 않겠다”던 정부 기조와는 결이 달라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택 시장은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와 1주택자에 대한 세금 혜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지배적이다. 이는 특정 지역의 주택 수요를 높여 양극화를 가속하고, 해당 지역의 가격 상승을 유발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보유세를 현재의 주택 수가 아닌, 주택 가액 기준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 장관은 문재인 정부 당시 20여차례에 걸쳐 부동산 정책이 발표된 사실을 거론하며 “단발성이 아니라 차분하게 종합적으로 검토해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이 열린 형태”라고 역설했다.
보유세 개편은 다주택자·고가주택 보유자에 직격탄이 될 수 있어 시장 반응과 정치적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이 기사는 AI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100억 적자에 수천만원 ‘성과급 잔치’ 벌인 지역 농·축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갈 길 바쁜 NC, LG전 선발 카드 왜 김태경 꺼냈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미국, 1일 0시 1분부터 셧다운 돌입…트럼프 “대규모 해고 불가피”(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저축銀 이어 캐피탈에도 부동산PF ‘20%룰’ 적용하나…금융권 '긴장'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인체조직 미용·성형시술 활용 규제 검토...반사이익 유력한 기업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