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내가 좋아하는 ‘과일·빵’ 물가, 5년간 40% 가까이 뛰었다
- 먹거리 물가 20%↑…전체 물가상승률보다 7%p 높아
우유·계란 30.7%·라면 25.3%·외식 25.1% 등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5년간 먹거리 물가가 20% 넘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에 비해 22.9%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16.2%)보다 7%포인트(p)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과일(35.2%)과 우유·치즈 및 계란(30.7%) 등은 5년 전에 비해 30% 넘게 치솟았다. ▲빵(38.5%) ▲케이크(31.7%) ▲떡(25.8%) ▲라면(25.3%) 등이 크게 오르며 빵 및 곡물(28.0%)도 상승 폭이 컸다. 과자, 빙과류 및 당류도 27.8% 상승했다.
고춧가루, 참깨 등이 포함된 ▲기타 식료품(21.4%) ▲육류(21.1%) ▲어류 및 수산(20.0%)은 먹거리 평균보다는 조금 낮았지만 상승률이 20%가 넘었다.
비주류 음료 중에 커피·차 및 코코아가 38.2% 치솟았고, 생수·청량음료·과일주스 및 채소주스도 22.7% 올랐다.
주류 및 담배는 상승률이 5.0%에 그쳤지만 이 중 주류만 보면 13.1%에 달한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는 연도별로 ▲2020년 4.4% ▲2021년 5.9% ▲2022년 5.9% ▲2023년 5.5% ▲2024년 3.9%로 계속 높은 수준의 상승세를 이어왔다.
이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0년 0.5%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2024년 2.3%다.
지난 5년간 생활에 밀접한 품목들의 물가도 수준이 크게 올랐다.
‘음식 및 숙박’은 24.8%로 가장 크게 상승했고 이중 외식 비용을 뜻하는 ‘음식 서비스’는 상승률이 25.1%로 더 높다. 식료품 등 원재료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누·샴푸·미용료 등이 포함된 ‘기타 상품 및 서비스’는 24.1% 상승했다. 세제, 청소용품 등 살림에 필요한 물품과 세탁·청소 같은 가사 서비스를 포함한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물가는 19.4% 올랐다.
전월세를 포함한 주거비와 각종 공공요금 등이 포함된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물가는 16.7% 올랐다. ‘의류 및 신발’은 16.2%로 평균 상승률과 거의 비슷했다.
다만 연료비, 차량 유지비, 대중교통 요금 등을 포함한 ‘교통’ 물가는 15.9%로 평균보다 낮았다.
그 외 ▲오락 및 문화(9.5%) ▲교육(8.8%) ▲보건(6.2%)도 상승 폭이 작은 편이었고 통신비는 0.2%로 유일하게 하락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믿을 건 金밖에 없다" 4000달러 돌파…지금 사도 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쿠시♥비비엔, 9년 열애 결실… “10월 11일 결혼” [공식]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남도 아닌데 20억?…"지금 아니면 집 못 산다" 발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킹 사태 속출…투자업계, 보안 스타트업 '큰 장'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티팜, 올리고 치료제 상용화 훈풍 타고 ‘수주 잭팟’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