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비 강남권 한강벨트 ‘눈치싸움’…15억 초과 거래 다시 ‘꿈틀’
- 성동·마포 등 비강남 한강벨트 강세 영향
추석 이후 정부 추가 규제 촉각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6·27 대출 규제 이후 감소했던 서울지역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9월 이후 다시 꿈틀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한강벨트 지역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8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070건)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17.0%)에 비해 4%포인트(p)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고가 아파트의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6월 28.2%였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7월에 24.1%로 줄었고, 8월에는 17.0%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다 9월 들어 다시 20%를 넘긴 것이다.
15억원 초과 중에서도 15억 초과∼3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19.4%를 차지하며 전월(14.6%)에 비해 5%p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9·7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성동·마포구에서는 지난달 전용 59㎡의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돌파한 단지들이 속출했다.
9억∼15억원 이하 거래 비중도 6월 34.5%에서 7월에는 29.1%로 감소한 뒤 8월 32.2%에 이어 9월에는 36.3%로 늘었다.
이에 비해 강남3구 아파트가 집중된 30억원 초과∼50억원 이하 비중은 지난 9월 1.5%를 차지하며 전월(2.0%)보다 감소했다. 지난 6월 4.2%에 비해서는 두 달 연속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5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도 지난 6월 0.94%였으나 8월에는 0.42%로 줄고, 9월에는 0.2%로 감소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6·27 대출 규제로 토허구역으로 묶여 전세를 낀 매수가 불가능한 강남권 고가 아파트 거래는 직격탄을 맞은 대신 전세 낀 갭투자가 가능한 비강남 한강벨트 지역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중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9억원 이하 중저가 비중은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지난 9월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낮은 42.6%를 기록했다.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거래량이 급증했던 지난 6월 37.3%에 그쳤으나 대출 규제 후 7월에는 46.7%로 늘고, 8월에는 50.7%로 절반을 넘겼었다.
시장에선 추석 이후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을 내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9·7대책에서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50%에서 40%로 낮췄고, 국토부 장관도 공공사업이 없는 단일 행정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믿을 건 金밖에 없다" 4000달러 돌파…지금 사도 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쿠시♥비비엔, 9년 열애 결실… “10월 11일 결혼” [공식]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남도 아닌데 20억?…"지금 아니면 집 못 산다" 발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해킹 사태 속출…투자업계, 보안 스타트업 '큰 장'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티팜, 올리고 치료제 상용화 훈풍 타고 ‘수주 잭팟’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