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캄보디아 코인 창구 열렸다 닫혔다"…국내 거래소서 1년 새 1400배 폭증한 '의심 송금'
- 빗썸 중심으로 집중 발생
불법 송금·세탁 통로 우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와 캄보디아 후이원 개런티 간의 코인 유출입 규모는 총 128억64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3년 922만원에서 1400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2023년 입고(캄보디아→한국) 895만원, 출고(한국→캄보디아) 28만원에 그쳤으나, 지난해 입고 104억9457만원, 출고 23억1188만원으로 뛰었다.
거래소별로 보면, 빗썸이 2023년 922만원에서, 지난해 124억2646만원으로 후이원 개런티와의 코인 입·출고가 급증해 대부분을 차지했다.
업비트는 2023년 전무했던 유출입이 지난해 3억6691만원으로 크게 늘었고, 코인원은 2500원에서 120만원으로 늘었지만 비교적 미미했다.
코빗에서는 지난해에만 1187만원어치 코인이 입·출금됐고, 고팍스에서는 아예 송금이 이뤄지지 않았다.
후이원 그룹은 사기나 탈취로 확보한 가상자산을 세탁한 혐의로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규정돼 제재받은 곳이다.
후이원 개런티는 이 그룹 계열의 가상자산 서비스 플랫폼으로, 고위험 자금 이동 경로로 의심받는 곳이다.
국내 거래소와 후이원 개런티 간의 대규모 코인 유출입은 올해까지 계속 이어졌다.
올해 1월부터 이달 20일까지 5대 거래소에서 이뤄진 코인 유출입 규모는 총 31억492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2023년보다는 여전히 컸다.
거래소별로는 빗썸이 21억8218만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업비트(5억2351만원), 코빗(4억4328만원), 코인원(28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업비트는 올해 3월부터, 빗썸, 코인원, 코빗은 5월부터 후이원 개런티와의 입·출금을 차단한 상태로 전해졌다.
빗썸의 경우 후이원 외에도 캄보디아 범죄 단지 배후로 지목된 프린스그룹 계열의 바이엑스에서 올해 68만원이 입고된 기록이 확인되기도 했다.
바이엑스 역시 프린스그룹의 자금 세탁 통로로 지목돼 국제 제재를 받은 거래소다. 빗썸은 지난 22일 뒤늦게 바이엑스와의 모든 종류 코인 입출금을 차단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1400배 폭증’…캄보디아 범죄 조직에 뚫린 국내 거래소(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다영, ‘2025 KGMA’ 합류...첫 솔로 시상식 나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4040선 바라보는 코스피…4038.39 사상 최고가 경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비수기 무색…BBB급 중앙일보 등 회사채 시장 분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1등 K-바이오]스킨부스터 열풍의 주역 파마리서치③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