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몸값 700조’ 오픈AI “상장 계획 없다”…이유는?
- 오픈AI "상장 계획 아직 없다"…"성장과 R&D가 우선"
5일(현지시간) 프라이어 CFO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테크라이브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오픈AI는 수익성보다는 연구개발과 확장을 우선하고 있다”며 “현재 손익분기점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오픈AI 상장설은 로이터 통신이 지난달 말 소식통을 인용해 최대 1조달러 기업 가치를 목표로 2027년 IPO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하면서 확산됐다. AI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천문학적인 자본이 필요한 만큼, 오픈AI가 상장을 추진한다는 전망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왔다.
이에 대해 프라이어 CFO는 금융기관과 정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은행과 사모펀드, 심지어 정부까지 포함한 (자본 조달) 생태계를 모색하고 있다"며 "정부가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AI 칩의 감가상각률이 불확실해 기업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정부의 보증을 통해 차입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날 오픈AI는 챗 GPT 구독 서비스 외의 신규 매출원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직접 계약을 맺고 자사의 비즈니스 플랫폼 ‘챗 GPT 포 워크'(ChatGPT for Work)와 개발자 플랫폼을 사용하는 기업 고객의 수가 100만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이 플랫폼에 실제 접속하는 계정 수는 불과 2개월 만에 40% 증가해 700만 개를 넘어섰으며, ‘챗 GPT 엔터프라이즈'의 계정 수는 연간 9배 성장했다고 덧붙였다.
주요 기업 고객으로 바이오 기업 암젠, 투자은행 모건 스탠리, 유통업체 타깃, 네트워크 기업 시스코, 통신기업 T-모바일 등 미국 기업을 비롯해 SK텔레콤, LG전자, LG유플러스 등 한국 기업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한민국 인구 절반 이상이 2025 KBO 가을 야구 봤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빽가, 사기 피해 고백..“60달러 날렸다” 무슨 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러다 AI 경쟁서 중국이 미국 이길것”…젠슨황의 경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000피 훈풍' 소외된 KIC·공제회들…내년 '전화위복'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신약 기대감에 에이비프로바이오·일동홀딩스 상한가, 신테카바이오도 급등[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