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반도체가 이끈 역대급 경상수지…“연간 전망 상향 가능성”
- 1~9월 누적 흑자 827억7000만달러 ‘사상 최대’
“추후 전망에 반도체 호조·관세 리스크 완화 반영될 듯”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한국의 경상수지가 29개월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1~9월 누적으로는 역대 최대다. 지난 8월 한국은행이 내놓은 올해 경상수지 전망치는 1100억달러인데, 이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도 나왔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월간 흑자 기준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29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해 연속 흑자 기간도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길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는 827억7000만달러 흑자다. 지난해 같은 기간 672억3000만달러보다 약 23% 높다.
이날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상품수지가 반도체 선박 수출 호조에 역대 2위를 기록하며 9월 경상수지는 역대 2번째이자, 9월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면서 “1~9월 누적으로도 사상 최대”라고 평가했다.
경상수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142억4000만달러 흑자로, 역대 9월 가운데 2017년(145억2000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 규모다.
수출은 672억7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9.6% 증가했다. 8월 564억4000만달러보다 63억달러 이상 불었다.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2.1%)·승용차(14.0%)·화학공업제품(10.4%)·기계류정밀기기(10.3%)·무선통신기기(5.3%) 등이 전년 동월 대비 늘었다. 다만 컴퓨터주변기기(-13.5%)는 뒷걸음쳤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1.9%)·EU(19.3%)·일본(3.2%) 등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1.4%)에서 줄었다.
수입은 530억2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 507억3000만달러보다 4.5% 많았다. 국제유가 하락 등에 원유(-13.3%)·석유제품(-9.8%)·화학공업제품(10.2%)·가스(2.4%) 등 원자재 수입 증가율은 0.4%에 그쳤지만, 국내 소비 회복과 영업일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정보통신기기(29.9%)·수송장비(24.4%)·반도체제조장비(11.6%) 등 자본재 수입이 12.2%나 늘었다. 승용차(36.3%) 등 소비재 증가율도 22.1%에 이르렀다.
신 국장은 “상품 수출은 반도체 등 IT 품목의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작년 9월 추석 연휴로 인한 기저효과로 승용차, 선박 등 비IT 품목도 늘면서 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고, 상품 수입은 내수 회복과 영업일수 증가로 인해 자본제와 소비재가 큰 폭 늘어나면서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경상수지 흑자에는 반도체 호조가 주효했다. 신 국장은 “미국 관세 영향에 대미수출이 품목 관세 품목을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반도체가 슈퍼사이클에 접어들었고, 자동차의 수출 지역 다변화, 선박의 수출 호조세 등이 반등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서비스수지는 33억2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21억2000만달러)이나 작년 9월(-21억달러)보다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9억1000만달러)는 8월(-10억7000만달러)보다 줄었지만, 운송수지(-1억2000만달러)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8월보다 사용료 수입이 줄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8억5000만달러)도 8월(-6000만달러)보다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9억6000만달러)는 8월(20억7000만달러)과 비교해 약 9억달러 늘어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특히 8월의 계절적 분기 배당 지급 요인이 해소되면서 배당소득수지 흑자 폭이 15억8000만달러에서 23억6000만달러로 커졌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9월 중 129억달러 늘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6억6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8억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11억9000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주식과 채권 모두 고르게 90억8000만달러 늘었다.
추후 한국은행이 11월 전망에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상향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 8월 전망에서 한국은행이 내놓은 올해 경상수지 전망치는 1100억달러다.
신 국장은 “10월 경제상황평가에서 상향 가능성 있다는 언급도 있었는데, 가장 큰 요인은 반도체 호조세가 예상보다 강한 면이 반영된 것 같다”며 “그동안 불확실했던 한미 관세협상이나 미·중 관세협상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서 어느 정도 완화된 부분이 있어서 반영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웅석 국기원장 취임 “일하는 기쁨 있는 국기원 목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인형인가...아이유, 파격 숏컷에 뽀글머리 '찰떡'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AI 열풍’ 경고 난무에도…‘혁신 기회’ 강조한 ‘월가 황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000피 훈풍' 소외된 KIC·공제회들…내년 '전화위복'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루닛 이후 최단기간 시총 1조 진입...씨어스테크놀로지, 앞으로가 더 무섭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