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새벽배송 금지 '분노'...소상공인들 "민생경제 회복에 찬물"
- 지난달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서 관련 제안 나와
새벽배송 금지 시 소상공인 휘청...학계도 우려
10일 업계에 따르면 소상공인연합회는 최근 논평을 통해 “새벽배송 금지 주장 철회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새벽배송 금지’ 논란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지난달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관련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소상공인연합회는 “내수 부진으로 인한 역대급 위기 속에 온라인 판매로 겨우 활로를 모색하던 소상공인들에게 난데없는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크나큰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우려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최근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보고서를 인용해 “학회는 새벽배송과 주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이 18조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며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 매출 감소분 약 33조원 등을 포함하면 경제적 손실은 54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학회 측 분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배송 시장은 2015년 4000억원에서 2024년 11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소상공인들이 주로 유통하는 과일, 식재료 등 빠른배송이 필수적인 품목의 유통을 촉진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새벽배송으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확대됐다는 방증”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소상공인연합회는 “언론보도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새벽배송의 대명사격인 쿠팡의 입점 소상공인은 21만명, 거래액은 9조원에 달한다”며 “전체 입점 판매자 중 소상공인 비중은 75%로 집계된다. 이 많은 소상공인 셀러뿐 아니라, 새벽배송 이용 소상공인들도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손해가 막심해질 것이 분명하다”고 걱정했다.
마지막으로 소상공인연합회는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 나아가 한국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며 “노조가 ‘상생’이 아니라 가뜩이나 어려운 민생경제에 재 뿌리겠다는 심산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샤넬부터 친환경 재킷까지...지드래곤의 '화려한' 공항패션 [얼마예요]](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5/11/08/ecn20251108000008.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홍명보 “조규성에게 많은 기대 안 했으면”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홍명보 “조규성에게 많은 기대 안 했으면”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불장이라는데 내 주식 왜 이래?…개미들 비명 터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K푸드 붐에도…내수 부진에 소화 안되는 식품기업 매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차상훈 에이프릴바이오 대표 "추가 기술이전 3건 더 기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