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돈 몰리는 오피스텔 시장 - 원룸은 대학가, 투룸·쓰리룸은 신도시 유리
- 돈 몰리는 오피스텔 시장 - 원룸은 대학가, 투룸·쓰리룸은 신도시 유리

분양 열기에 기존 오피스텔 가격도 올라

이쯤이면 열풍이라고 해야 맞겠다. 기준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1%대로 내리면서 대표적인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신규 분양 단지엔 뭉칫돈이 몰리고, 기존의 낡은 오피스텔은 몸값이 쑥 올랐다. 당분간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제부터 ‘옥석’ 가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 1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지난해 4분기보다 0.12% 올라 2012년 1분기 이후 3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수도권은 서울이 0.1%, 경기가 0.24% 각각 상승했다. 지방 역시 부동산 열기가 뜨거운 대구(0.62%)와 부산(0.2%)이 많이 올랐다. 매매가격이 오르는 데는 월셋값 상승이 한몫했다. 오피스텔 월세 가격은 0.07% 올랐다. 수도권에서는 경기(0.16%)·인천(0.03%)·서울(0.02%) 순으로 오름세를 나타냈다. 전셋값도 0.48%나 상승했다. 오피스텔 시장에서는 임대인들이 월세를 선호하기 때문에 월세 위주로 매물이 공급되고, 이 때문에 오피스텔 전셋값은 연일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분양도 잘 되고 기존 오피스텔 몸값도 오르고, 임대료도 상승 중이지만 임대수익률은 하락세다. 투자 대비 임대수익률은 여전히 약세다. 지난 1분기 전국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5.78%로 전 분기(5.81%)보다 또 낮아졌다. 수도권에서는 인천(6.24%)·경기(5.79%)·서울(5.38%) 순으로 수익률이 높았고, 지방에서는 제주(10.79%)·대전(7.42%)·광주(7.23%)·대구(6.23%)·부산(5.89%) 순이었다. 저금리 시대에 5%대 수익률도 높은 편이지만, 각종 세금과 준조세, 중개수수료 등 부대비용을 더하면 임대수익률은 연 2~3%대로 확 떨어진다. 문제는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는 데 있다. 당분간 임대수익률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얘기다.
우선 공급이 많다. 당초 전망과 달리 올해 오피스텔 신규 공급물량이 지난해 보다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초부터 3월까지 분양한 오피스텔은 9317실에 이른다. 1분기 기준으로 보면 2012년(8306실), 2013년(4166실)보다 많고 지난해(9508실)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러한 수치는 올해 초 오피스텔 공급이 다소 줄어들 것이란 전망과 배치된다. 오피스텔 공급이 이미 과잉 수준이기 때문에 올해는 지난해의 절반 수준까지 줄어들 것이란 예측이 업계에서 지배적이었다.
공급 줄어들지 않아 임대수익률은 주춤

기준금리가 1%대인 상황에선 수익률이 어쨌든 연 2~3%만 돼도 매력이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2~3%대 수익이라도 얻기 위해선 좀 더 꼼꼼한 투자 계획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별 수급 상황과 오피스텔 크기별 장단점을 잘 파악해야 한다. 요즘 오피스텔 시장에선 초소형의 원룸뿐 아니라 투룸·쓰리룸의 소형이 많이 나온다. 과거엔 원룸이 대부분이었다면 요즘엔 투룸·쓰리룸이 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다. 그런데 이 초소형과 소형은 크기뿐만 아니라 성격이 달라 투자 때 유의 해야 한다. 임대수익률은 원룸인 초소형이 유리한 편이다. 보증금보다는 월세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가락동 A오피스텔의 경우 보증금 1000만원을 기준으로 원룸인 30㎡는 월세가 70만원, 투룸인 56㎡는 월세가 110만원 선이다. 매매가격은 30㎡가 1억5000만원 선, 56㎡가 3억1000만원 정도한다. 단순히 투자비 대비 임대수익률이 30㎡는 연 5.6%, 59㎡는 연 4.2%대인 셈이다.
투룸·쓰리룸의 임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약세인 건 수요층이 ‘가족’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임대주택관리회사인 라이프테크 박승국 사장은 “세대를 이루고 있는 가족이라면 월세 지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때문에 투룸·쓰리룸은 원룸에 비해 보증금이 높고 월세가 낮게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임대 안정성에선 단기 임대가 많은 원룸보다 투룸·쓰리룸이 높은 편이다. 가락동 A공인 관계자는 “원룸보다 주거 만족도가 높고 가족 단위인 만큼 임대차 기간(2년)을 꽉 채우는 예가 많다”고 말했다. 그만큼 공실 부담이 적다는 얘기다. 이남수 신한금융센터 부동산팀장은 “원룸은 대학가나 업무시설 밀집 지역이, 투룸·쓰리룸은 신도시 등 주거 쾌적성을 갖춘 곳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검찰, '미아동 흉기난동' 김성진 사형 구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단독] 키움, 채용 공고 없이 전 대표 딸 인턴 채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신용불량자도 소비쿠폰 받을 수 있다…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콘텐츠 인기에도 밑빠진 독?…돈 넣기 꺼리는 투자자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류성의 제약국부론]K바이오 글로벌 위상 드높이는 AI 대표주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