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카카오, 헬스케어 플랫폼에 150억원 투자…의료데이터 사업 키우나
- 카카오, 난치병 환자 대상 헬스케어 플랫폼에 150억원 투자
2027년 604조원 될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으로 ‘한발짝’

휴먼스케이프의 강점은 블록체인과 의료데이터다. 환자의 의료데이터를 블록체인 기술로 안전하게 보관·관리하고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가 난치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보제공 플랫폼 ‘레어노트’다. 환자는 자신의 건강정보를 앱에 등록·관리하고, 희귀난치성 질환의 치료제, 임상시험 소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미래 유망 산업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GIA에 따르면 전 세계의 디지털 헬스 산업은 지난해 1520억 달러(약 180조원)에서 2027년에 5080억 달러(약 604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휴먼스케이프를 비롯해 헬스케어 관련 기업에 투자한 것도 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발판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당장의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산업의 규제 범위가 모호하고 시장도 조성돼 있지 않다. 카카오 관계자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의료데이터를 축적·활용하기에 규제가 많고, 연관 시장도 성숙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파이디지털헬스케어나 모노랩스 등 헬스케어 분야 유망 기업에 투자했던 것처럼 휴먼스케이프가 유망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를 진행했고, 함께 할 수 있는 사업이 있다면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선모은 기자 seon.mo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이준석 "개혁신당 이름으로 반드시 승리할 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진서연 "전라 노출, 남편이 대본 보더니…"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호텔경제론'은 진짜 불가능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에서 AI 첨단산업소재 업체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