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우크라이나 전운 고조에 정부 비상TF 가동, 수출기업 우려

정부, 공급망·실물경제·거시금융 등 상황 점검
자동차·스마트폰·반도체 등 수출 악화 우려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군 조교가 정부 지원을 받는 민방위 부대인 국토방위대 대원들을 교육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에 국제사회의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가 사태 악화 시 국내 경제에 미칠 악영향이 커질 수 있다고 보고 비상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로 했다.
 
28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회의에는 산업통상과 외교라인이 함께 참여했으며,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진행 상황을 비롯한 경제적 영향과 대응계획을 점검했다.
 
정부는 우리나라와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현재 교역규모, 원자재·곡물 비축물량 등을 감안할 때 단기·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강화하는 등 사태가 악화하면 금융시장·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정부는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을 팀장으로 하는 범정부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를 가동해 분야별로 상황을 점검하기로 결정했다. TF는 공급망·실물경제·거시금융 등 분야별로 상황을 일일 점검하고 주 2회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TF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내달 중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종합적인 대응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금융·외환시장 동향도 모니터링해 필요에 따라 시장안정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미국의 러시아 경제 제재로 국내 기업 매출 악화 우려

LG전자 러시아 루자 공장. [사진 LG전자]
국내 산업계는 우크라이나 사태 악화로 인한 수익 하락 등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러시아의 침공을 감행하면 한국도 미국의 동맹국으로 경제 제재와 같은 국제사회의 대(對)러시아 압박에 동참을 요구 받을 수 있어서다.
 
또한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국내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대러시아 수출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특히 기업들은 무엇보다 원자재 가격 급등 가능성을 우려한다. 우리나라는 러시아에서 원유·나프타·유연탄·연가스 등을 주로 수입한다.
 
무역협회 김꽃별 수석연구원은 “천연가스는 통상 장기계약을 하므로 당장 수급난을 겪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전쟁이 발발하면 러시아가 원자재 수출을 제한할 수 있고 공급망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장기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에 따르면 한국의 대러시아 15대 수출 품목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품목은 자동차로, 지난해 연간 24억9600만 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자동차 부품은 14억5400만 달러 수출로 2위를 기록했다. 이에 전쟁과 제재로 인한 러시아 내수 시장 위축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현대차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공장을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는 모스크바 인근 칼루가 지역 공장에서 TV를, LG전자는 모스크바 외곽 루자 지역 공장에서 가전과 TV를 생산하고 있다. 현지 생산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 이들 기업은 러시아에서 세탁기·냉장고 등 주요 가전 분야 1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삼성전자는 러시아 지난해 기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약 30%대로 1위다. 미국의 경제 제재는 러시아에 대한 스마트폰 수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미국 기술과 디자인을 사용해 제조한 반도체를 러시아로 수출하는 것을 막는 방식의 제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제품뿐만 아니라 미국산 반도체, 소프트웨어가 들어간 한국 제품의 수출도 영향을 받게 되는 셈이다. 지난해 한국의 대러시아 반도체 수출액은 7400만달러(약 885억원)로, 전체 반도체 수출의 0.6%에 불과하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삼성 스마트폰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는데 여기에는 미국의 반도체 설계 기술이 필수적으로 들어간다”면서도 “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는 반도체 역시 미국의 기술을 쓰지 않는 반도체는 없기 때문에 제재 범위에 따라 데이터센터·스마트폰·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다 제재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엔·달러 환율 158엔 돌파…34년 만 최저

2일론 머스크, 마크 저커버그 제치고 ‘세계 3위 부자’ 되찾아

3“임영웅 콘서트 티켓 팔아요”…8000만원 뜯어낸 30대 감형, 왜?

4웨딩 시즌 더 잘 나가…2030 여성 필수템된 '이 옷'

5휘발유 가격 5주째 상승세…“다음주에도 오른다”

6올리브영 입점했더니 매출 ‘껑충’…K-뷰티 생태계 재편

7“오거스타에서 샷을~” 제주 명품 테디밸리 골프앤리조트

8소상공인 공략에 최선 다하는 통신 3사

9중국에 17년간 참패한 韓 가전…C-커머스 확산에 더 어려워진 반등

실시간 뉴스

1엔·달러 환율 158엔 돌파…34년 만 최저

2일론 머스크, 마크 저커버그 제치고 ‘세계 3위 부자’ 되찾아

3“임영웅 콘서트 티켓 팔아요”…8000만원 뜯어낸 30대 감형, 왜?

4웨딩 시즌 더 잘 나가…2030 여성 필수템된 '이 옷'

5휘발유 가격 5주째 상승세…“다음주에도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