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옛 자장면값, 기억하나요”…2000 vs 2022 물가 비교해보니

[물가 쇼크②] 22년 전 가격과 비교해 보니 물가는 몇 곱절
자장면 2742→5769원, 설렁탕은 4217→9000원
지역마다 인상폭 달라 가격 차이 두드러지는 것 눈길

 
 
2000년 자장면 평균 가격은 2742원 수준이었다. [사진 중앙포토]
 
물가 상승세가 매섭다. 연초부터 ‘가격이 올랐다’는 뉴스가 연일 나오고 있다. 실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69로 지난해 동기 대비 3.6% 올랐다. 4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인데, 이는 2012년 2월 이후 처음이다. 10년 만에 가장 긴 물가 상승인 셈이다.
 
문제는 이 같은 지속적인 물가 상승은 단순 숫자가 아닌, 생활 곳곳에서 체감할 수 있는 냉혹한 현실이라는 점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생활 속 물가 상승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한국물가정보와 함께 주요 외식품목, 교통비, 공공요금 등에 대해 2000년도 평균 가격과 2022년도 현재 가격을 알아봤다.  
 

2000년엔…자장면 2742원, 시내버스 500원

먼저 외식비에서는 가파른 상승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0년 자장면 가격은 2742원에서 2010년 3905원으로 오르더니 올해는 6000원에 가까운 5769원 수준을 나타낸다. 설렁탕 역시 2000년 4217원에서 올해 9000원으로 두 배 이상 뛰었다.  
 
 
대표 주류 상품인 소주와 맥주도 오름세가 뚜렷했다. 2000년에는 소주를 1000원 이하로 살 수 있었다면 지금은 1280원이 필요하다. 병맥주는 2000년 1270원에서 현재 1410원 정도로 소폭 올랐다.    
 
교통비는 전철, 시내버스, 택시 등 모든 비용이 2배 이상 넘게 올랐다. 택시비는 2000년 1300원에서 올해는 3800원 수준으로 3배 가까이 올랐다. 전철은 500원에서 현재는 1250원으로 뛰었고, 시내버스 역시 500원에서 1282원으로 올랐다. 
 
공공요금인 전기요금도 주택용 100㎾h 이하 사용 기준으로 2000년 390원에서 2020년에 910원으로 껑충 올랐다. 전기요금은 2000년대부터 2015년까지 20원가량 오르는 등 가격 변동이 크지 않았지만, 2020년대 들어와 900원대로 2배 가까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매해 지속해서 물가가 올랐지만 2020년을 기점으로 전체 생활물가 상승폭이 커진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글로벌 물류대란이 발생했고, 정부가 코로나19 비상사태 대응의 일환으로 기준금리를 연 0.5%까지 낮추어 1년 넘게 유지한 것도 물가 인상을 부추겼다.
 
지난해 8월부터는 기준금리를 연 0.75%로 상승하고 올해 1월 1.25%까지 올렸지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4일에 올해 기준금리 연 1.25%로 동결할 것을 알렸다.  
 
김대종 세종대 교수(경영학과)는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예금, 적금에 넣는 비용이 적어지고 반면 시중에 도는 현금이 많아지면서 물가가 오르게 된다”며 “코로나19가 초래한 물류 문제, 금리 저하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합쳐져 물가 상승이 더욱 가파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비빔밥 비싼 전북·삼겹살 최고가 제주…지역마다 달라  

지역마다 외식비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중앙포토]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물가 상승세는 같지만 지역마다 인상폭이 달라 가격 차별이 두드러진다는 것이다. 한국소비자원 서비스가격정보를 통해 지역별 외식비 가격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비빔밥 경우엔 전라북도가 9350원으로 가장 비쌌다. 가장 가격이 낮은 경상남도 7577원보다 2000원 가까이 비쌌다.  
 
삼겹살이 가장 비싼 곳은 제주였다. 삼겹살 100~250g 정도에 제주는 1만5250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은 같은 기준으로 가격이 8800원으로 7000원가량 더 저렴했다. 비빔밥이 전주의 대표 음식으로 꼽히고, 흑돼지구이가 제주의 대표 음식으로 꼽히는 등 각 지역에서 수요가 많은 외식품목이 가격이 비교적 높았다.    
 
공공요금 중 택시비 기본요금은 경상남도가 3906원으로 가장 높고, 대부분의 지역이 3000원대였다. 단 세종시만 유일하게 기본요금이 2000원대(2800원)를 나타냈다.  
 
김 교수는 “지역마다 원자재 조달 환경이 다르고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가격 차별’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며 “영화관 아침 시간에 조조할인이 있고 놀이공원에 어린이 할인이 있는 것처럼 연령, 시간 등 조건에 따라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장기화, 러시아 침공…물가에 영향 

지난 24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현행 연 1.25%로 동결함을 알렸다. [사진 한국은행]
 
물가 상승세는 앞으로도 지속할 전망이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더불어 지난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하면서, 국내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러시아는 주요 석유 수출국으로, 러시아 침공 후 유가 배럴 가격이 급등해 석유 70%가량을 수입해야 하는 국내 사업에 큰 타격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는 곡물, 자재, 원유 등 다방면으로 수입 의존도가 높은데, 국제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과 작업량 감소로 인해 고물가 상황은 한동안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정부도 가파르게 오르는 물가를 잡기 위해 전기,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동결 검토부터 외식가격 공표제 시행까지 각 분야에서 다양한 정책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실질적인 결과는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이후 정책 방향에 따라 다시 갈릴 수 있는 부분이라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미국, 마이크론에 반도체 보조금 8.4조원…삼성전자와 규모 비슷

2이재명, 조국에 “정국상황 교감할 게 있어” 러브콜…오늘 비공개 만찬

3크라우드웍스, AI 언어 모델 사업 ‘본격화’…웍스원 개발

4국내 이주노동자, 일하고도 600만원 넘게 떼였다

5LG디스플레이 또 적자…그래도 1Q 손실 폭 줄였다

6 美 백악관 “마이크론에 반도체 보조금 61억 달러 지급”

7포스코홀딩스, 1Q 매출 18조·영업익 5830억…“체질 개선 지속”

8민희진 “하이브가 나를 배신…빨아먹을 만큼 빨아먹고 찍어 눌러”

9카카오게임즈 ‘아키에이지 워’, 대만 쇼케이스 성료…2분기 내 출시 예고

실시간 뉴스

1미국, 마이크론에 반도체 보조금 8.4조원…삼성전자와 규모 비슷

2이재명, 조국에 “정국상황 교감할 게 있어” 러브콜…오늘 비공개 만찬

3크라우드웍스, AI 언어 모델 사업 ‘본격화’…웍스원 개발

4국내 이주노동자, 일하고도 600만원 넘게 떼였다

5LG디스플레이 또 적자…그래도 1Q 손실 폭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