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인수위 DSR 등 완화 움직임에 “금융위와 다시 보겠다”
한미 금리 역전 가능성도 시사 “자본 유출 영향은 적을 것”

1일 이 후보자는 국회청문회 준비 태스크포스 사무실로 처음 출근하는 길에 취재진을 만나 가계대출 문제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대출 규제 완화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으로, 최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인수위)에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완화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자는 “대통령 인수위원회가 생애 첫 주택 구입자 등에 대출 규제 완화를 고려하고 있는 것”이라며 “미시적인 목적이겠지만 전반적인 국가 부채 문제나 유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한국은행이 당연히 나서서 (정부와) 조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는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어 금융위원회와 함께 다시 한번 봐야 할 것”이라며 “가계부채는 경제 성장률 둔화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앞으로 고령화에 따라 은퇴자들이 생활자금을 위해 대출을 받기 시작하면 (이자 부담 확대로) 부채 부실화가 심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 후보자는 “지난 8월부터 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려 가계부채를 조절할 수 있는 밑바탕이 마련됐다고 생각한다”며 “지금은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다. 금리를 통해 가계부채가 소프트랜딩(연착륙)할 수 있도록 한은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물가 상승률과 관련해서 이 후보자는 “IMF뿐 아니라 한은도 (올해 물가상승률을) 3.1% 전망하고 있는데, 상반기는 부득이하게 예상보다 높아질 것 같다”며 “하반기는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거시 경제 리스크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치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3월부터 본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그는 “금리 격차가 줄거나 역전될 가능성은 당연히 있다”고 밝혔다.
다만 “자본 유출 가능성은 금리만 아니라 환율 변화 기대심리, 경제 펀더멘탈(경제기초여건) 등의 변수에 달린 것”이라며 “2018~2019년 미국이 금리를 빨리 올릴 때도 자본은 오히려 국내 순유입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한미 간 금리 격차로 인한 자본 유출 영향은 적을 것”이라며 “오히려 이로 인한 물가 영향을 더 우려해야 한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2차 조사서도 혐의 부인…특검, 구속영장 청구 검토(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송하윤 측 “학폭 의혹 유포자, 지명통보 수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최대 55만원' 소비쿠폰 21일부터 지급…신청 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위클리IB]‘수익률 쇼크’면한 韓 LP들…트럼프 과세조항 삭제에 ‘안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