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서울과 6대 광역시 중형아파트 값 격차 10억원까지 벌어져 [체크리포트]
- 2017년 5월 4억 → 2022년 3월 10억

13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통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서울과 6개 광역시의 전용면적 85㎡ 초과∼102㎡ 이하의 중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각각 8억326만원, 3억3608만원으로 4억6718만원의 격차를 나타냈다.
그런데 올 3월 이 격차는 10억618만원으로 확대됐다. 2022년 3월 기준 서울 중형아파트값은 16억1059만원 6개 광역시는 6억441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의 중형 아파트값이 6개 광역시보다 더 급격히 오르면서 가격 격차가 벌어진 셈이다. 이 격차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2020년 1월 6억1122만원이었던 격차는 2021년 1월 7억1841만원을 기록하며 1년 만에 1억719만원 올랐고, 2022년 3월에는 2020년 1월보다 3억9496만원 상승했다.
서울 강남구 일원동 목련타운의 전용면적 99㎡는 2017년 5월 8일 11억6000만원에 팔렸지만, 올해 3월 30일에는 25억3000만원에 매매 계약이 이뤄져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13억7000만원 오른 가격으로 거래됐다.
반면 인천 부평구 갈산동 두산아파트 전용 101㎡는 2017년 5월 29일 3억6000만원에서 지난 3월 3일 5억8000만원으로 2억2천200만원 상승했다. 대구 달서구 월성동 월성푸르지오 전용 101㎡도 2017년 5월 15일 4억3500만원에서 지난 3월 19일 7억원으로 2억6500만원 올랐다.
경제만랩은 “정부의 잇따른 규제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며 지역 간 아파트값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분석했다.
김두현 기자 kim.doohye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안산 인질 살해' 김상훈, 교도소서 또 범죄…동료 수용자 폭행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전현무 "방송하다 목 메여" 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창업 뛰어든 청년 사장님, 5년도 안 돼 무너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형인우 대표, "엔솔바이오 디스크치료제 美 임상3상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