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장악력’ 커진 3세 김동관, 대외 행보로 그룹 내 입지 굳히나
바이든 방한 당시 그룹 대표해 참석
기업인 유일 다보스 특사단에 참여
37조원 투자 계획에 담당 사업 대부분
성과 내면 경영권 승계에 속도 붙을 듯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가 지난해 5월 '더 푸르른 지구를 위한 저탄소 에너지 해법'을 주제로 열린 '2021 PG4 서울 정상회의' 에너지 세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한화솔루션]](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6/03/3ea4dd03-9656-4945-b758-c3e3c7a7b943.jpg)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가 지난해 5월 '더 푸르른 지구를 위한 저탄소 에너지 해법'을 주제로 열린 '2021 PG4 서울 정상회의' 에너지 세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한화솔루션]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다보스 특사단’까지
지난 23일부터 나흘간 이어진 다보스포럼에서 김 사장은 특사단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에너지·국제관계 전문가 중 한 명인 대니얼 예긴(Daniel Yergin) S&P 글로벌 부회장을 만났다.
이에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기간에도 한화를 대표해 자리에 참석했다. 김 사장은 지난 21일 서울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김 회장을 대신해 참석했다. 같은 날 오후에 진행된 바이든 대통령 환영 만찬에도 참여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지나 레이몬도(Gina Raimondo) 미국 상무부 장관이 지난 21일 서울 용산구 하얏트호텔에서 기업인들과 함께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6/03/39be7c7b-60ad-4415-97b5-2ac6c165aac8.jpg)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지나 레이몬도(Gina Raimondo) 미국 상무부 장관이 지난 21일 서울 용산구 하얏트호텔에서 기업인들과 함께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산업통상자원부]
이에 지나 레이몬도 미 상무장관은 “협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한미 경제협력이 반도체와 원전에 이어 태양광 부문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10여 년 전부터 미국 태양광 시장에 제품을 공급해왔다. 특히 2019년 1월부터는 미국 조지아주 달튼시에 1.7GW(기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모듈 공장을 가동해, 미국 내수 시장 판매를 확대했다. 달튼시에 자리한 공장은 미국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올해 초에는 미국 폴리실리콘 기업 ‘REC실리콘’을 인수하는 등 ‘태양광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최근에는 미국 모듈 생산 라인에 2000억원을 투자해 1.4GW 규모의 태양광 모듈 공장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후계자 입지 공고히…성과 앞세워 한화 이끌까
한화그룹의 주력 회사인 한화솔루션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김 사장은 우주·항공사업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사내이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분 20%를 보유한 쎄트렉아이의 기타비상무이사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한화의 등기 임원에 선임되면서 그룹 경영의 주요 현안에 이사회 구성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룹의 우주 사업 총괄 조직인 ‘스페이스허브’를 직접 진두지휘하고 있다.
![다보스 특사단으로 참여한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왼쪽에서 세 번째)의 발언을 대니얼 예긴(Daniel Yergin) S&P글로벌 부회장(오른쪽에서 첫 번째)이 듣고 있는 모습. [사진 한화]](https://economist.co.kr/data/photo/202206/03/8dd88277-1098-462b-8513-166ea3b24809.jpg)
다보스 특사단으로 참여한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왼쪽에서 세 번째)의 발언을 대니얼 예긴(Daniel Yergin) S&P글로벌 부회장(오른쪽에서 첫 번째)이 듣고 있는 모습. [사진 한화]
재계에서는 이제 김 사장의 경영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다.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사업에서 성과를 낼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김승연 회장은 지난 1981년 창업주이자 아버지인 김종희 회장이 갑자기 별세하자 29세의 젊은 나이에 그룹 회장직에 올랐다. 당시 한국화약그룹의 총매출액은 1조1079억원이었다. 40여 년이 흐른 지난해 한화그룹의 연결 기준 매출은 52조8360억원, 영업이익은 2조9278억원을 기록했다. 김 회장의 승부사적 기질을 앞세워 다수의 인수합병(M&A)과 사업 다각화를 통한 결실이었다.
불과 29세 나이에 경영권을 승계받아 비약적으로 그룹을 성장시킨 부친의 성과에 비견할 만한 실력을 증명해낼 수 있을지 재계가 주목하고 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